▲임흥빈 전남도의원이 해양에 있는 옛 산성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돈삼
"바다가 뚫리면 육지가 열리게 돼 있어요. 육지가 무너지는 건 시간 문제죠. 도성의 나라님이 욕을 당할 것이고요. 나라도 없어지지 않겠습니까. 우리 바다는 언제나 최일선에서 나라를 지켰어요. 섬 주민들이 최전방에 선거죠. 그 흔적이 섬과 바닷가에 있는 산성(山城)들입니다."지난 22일 만난 임흥빈(55, 신안) 전남도의원의 말이다. 임 의원은 전남 서남해안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도서·해양문화 가운데서도 옛 산성에 주목하고 있다. 섬 주민과 함께 나라를 지키는 첨병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섬 주민들은 중앙정부의 온갖 수모와 천대를 다 받고 살았어요. 국토 끝자락에 산다는 것 만으로요. 모질고 질긴 삶을 살아온 거죠. 그러면서도 나라를 지키는 데 앞장섰어요. 섬과 바다를 지키기 위해 한 치의 양보도 하지 않았죠. 섬의 높은 곳에 산성을 쌓으면서요. 이런 사실은 우리 해양역사 속에 기록으로 살아있어요. 지금도 잔해로 남아 있고요."임 의원이 섬과 바닷가의 옛 산성에 주목한 건 최근의 일이다. 섬에서 태어났고, 그 섬을 지역구로 둔 지방의원으로서 섬 주민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판단에서였다. 그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고 있는 전남의 섬과 바다에 대한 관심은 지역발전과도 직결된다는 생각을 했다. 전남도의회에 의원 연구모임인 '도서해양문화연구회'를 두자고 제안한 것도 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