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득구 경기도의회 의장(새정치, 안양)
정진석
지난 17일 오후 강 의장을 집무실에서 만났다. 강 의장은 이날 연정(연합정치)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그러나 연정의 핵심 이기우 사회 통합부지사에 대해서는 "좀더 개혁적 목소리를 내면 좋겠다"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연정으로 인해 견제와 비판이라는 의회 본연의 기능이 약화됐다는 지적에는 "동의하기 어렵다"라고 일축했다.
강 의장은 이날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의 1년도 평가했다. "자주재정권, 자치입법권 같은 권한이 커져야 지방자치가 발전할 수 있다"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지방의원이 일 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의원 보좌관제 도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다음은 강 의장과의 일문일답.
- 임기 절반이 훌쩍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는? "벌써 1년이다. 하루하루는 무지 힘들고 긴 시간인데, 되돌아보니 금방 갔다. 의장 될 때가 세월호 참사 직후였다. 세월호 이전과 이후는 달라야 한다는 생각에 '사람 중심 민생 중심'을 의정 방향으로 제시했다. 그런 의미에서 연정에 합의도 했고. 소회라면, 한다고 했지만 아쉬움이 훨씬 많은 1년이었다는 것이다. 열심히 해서 성과도 냈지만, 정치에, 정치인에 대한 도민들 불만은 여전하니, 이 점이 아쉽다."
- 성과는 무엇인가? "대한민국 최초로 연정을 이루었고 이를 통해 생활임금 조례를 만든 게 성과다. 이거(생활임금 조례), 전임 김문수 지사가 계속 재의를 요구해서 갈등을 겪은 일인데 남경필 지사는 시원하게 받아들였다. 연정 효과다. 경기도 생활임금은 최저 임금보다 1천 원 많은 시급 7천30원인데 내년부터 경기도와 산하 공공기관 등에 종사하고 있는 노동자 750여 명에게 적용된다.
경기도의회 환경미화원을 직접 고용으로 바꾼 일도 기억에 남는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를 실천한 것이어서 의미가 있다. 그 분들 월급이 20만 원 정도 올랐다. 경기도의회 직원이라는 자긍심도 생겼으리라 본다. 또, 버스요금 인상 시 본회의 의결을 거치도록 제도화해, 함부로 못 올리게 한 것과 요금 폭탄 논란이 벌어졌던 좌석·직행좌석버스 거리 비례제 도입(기본거리 30㎞ 초과, 5㎞마다 100원 추가)을 막은 것도 의미가 있다."
연정 때문에 의회 기능 약화? "동의하기 어려워" - 연정 때문에 견제와 비판이라는 의회 본연의 기능이 떨어졌다는 지적도 있는데? "동의하기 어렵다. 처음엔 사실 걱정도 했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행정감사나 예산심의 모두 '세게' 했고 조례발의 건수도 늘었다. 8대 때는 1년 148건이었는데 9대 들어서는 308건이나 된다.
오히려 '예산 연정'으로 의회가 직접 예산을 짤 수 있으니 의회 기능이 높아진 측면은 있다. 또 공공 기관장 인사청문회 도입으로 견제 기능도 강해졌다. 기관장들, 예전엔 도지사 선거 도와준 분이나 가까운 분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젠 인사청문회 덕분에 도덕성과 전문성 등을 검증할 수 있게 됐다. 그럴(선거 도와준 사람이 임명될) 가능성이 줄어든 것이다."
- 새정치가 파견한 연정의 핵심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의 10개월을 평가한다면? "새정치 의원들이 추천한 부지사니 만큼 새정치의 가치를 도정에 반영하는 역할을 잘해야 한다. 특히 보건복지, 여성, 환경 등 이 부지사가 담당하는 것은 새정치의 진보적 가치가 담긴 좋은 정책을 제안할 수 있는 영역이다. 좀더 개혁적 목소리를 내고 좋은 정책을 의제화해서, 연정을 하니 달라지는구나 하는 것을 도민들에게 보여주면 좋겠다.
동시에, 이 부지사가 일을 잘할 수 있는 환경을 경기도가 만들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 (남 지사가) 연정할 때 인사권과 예산 편성권을 준다고 했는데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 순환 보직제(2~3년 주기로 부서를 옮기는 제도)인 경기도의 인사 특성상, 인사권을 주기가 쉽지는 않을 거다. 하지만, 약속한 것이니 만큼 일을 잘할 수 있도록 인사권을 확실하게 줬으면 좋겠다. 예산 편성권도 마찬가지고."
- 의회 사무처 인사권 독립, 의원 보좌관제 도입 같은 의회 기능 강화를 위한 제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고 했는데, 어느 정도 진행됐는지? "인사권 독립이 있어야 집행부 견제가 가능한데, (저한테) 의회사무처장 추천권은 있지만 결정권은 없다. 결정권자는 도지사다. 과장급도 협의는 하지만 마찬가지로 최종 결정은 도지사가 한다. 이게 지방의회의 한계다. 의회보다 집행부(경기도)가 힘이 훨씬 센 구조다.
보좌관제 도입도 마찬가지다. 국회의원들은 보좌관만 9명이고 후원금도 1년에 2억 전후로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지방의원은 이런 것을 포함해서 지원되는 게 국회의원 100분의 1도 안 된다. 철저하게 대한민국은 중앙 중심, 여의도 중심 국가다. 이 두 가지 다 중앙 부처인 안전행정부와 국회에서 동의해 줘야 가능한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지방자치에 관심 있는 국회의원 과연 몇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