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9일 서울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청년의회에서 청년의원들이 손을 들어 의사를 표현하고 있다.
서울시제공
지난달 19일 오후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 서울시와 특별한 '약정식'을 맺는 600여 명의 젊은이들이 약간은 상기된 표정으로 하나둘씩 모여들었다.
이른바 '희망 두배 청년통장' 약정식이다. 희망 두배 청년통장은 저소득층 청년들이 일정액을 2-3년간 꾸준히 저축하면 서울시가 저축액의 50%-100%까지 추가로 적립해주는 사업이다.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인 가입자가 월 15만 원을 저축하면 100%인 15만 원을 붙여주고, 비수급자에겐 50%인 7만5천 원을 적립해준다.
998명의 지원자 가운데 600명을 우선 선정했다. 이번 달에는 추가로 400명을 더 선발하고, 앞으로도 매년 1천 명을 뽑아 혜택을 줄 계획이다. 적립액은 교육비, 주거자금, 창업자금, 결혼자금 등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대표이면서 서울시청년정책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한영섭(35)씨는 이 통장을 제안한 취지를 이렇게 설명한다.
"경제적 기반이 불안정한 모든 청년들이 가난을 증명하지 않고도 국가의 정책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또, 정책을 이용하는 청년들이 저축에 대한 즐거움을 알고 경제적 자립 습관을 형성해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어요."(대학생기자단 인터뷰)"청년문제 전담부서 만들어달라"... 청년정책과 신설로 이어져서울시는 지난 2013년 8월 제1기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청정넷)를 출범시켰다.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청년문제에 대해 관의 관점을 넘어 청년 본인들의 관점에서 해결해보려는 시도였다.
권한이 명확하지도 않고 급여를 주는 것도 아닌데도 서울시 홈페이지나 SNS를 보고 만 19세부터 39세 청년이 249명이나 신청했다. 학생(40%)이 가장 많았지만 청년활동가(24%), 직장인(20%), 자영업·기업인(12%), 기타(4%) 등으로 다양한 부류의 청년들이 모였다.
청정넷을 운영하고 있는 권지웅 서울시 청년명예부시장은 이에 대해, "일반 시민이 시정에 참여할 통로는 민원을 넣는 것 외에 없다"며 "비슷한 고민을 하는 또래 친구들과 모여 협의하면 기존에 시도하지 못했던 뭔가를 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한 것 같다"고 풀이했다.
일·노동, 주거, 생활안전망, 창업, 문화예술, 여성, 마을 등 13개 팀으로 나뉜 청년들은 팀별로 모여 협의하고 4개월 후 시에 20개의 정책을 제안했다. 지난달 출범한 희망 두배 행복통장도 그 중 하나이다.
특히, 올 1월 서울혁신기획관실에 새로 생긴 '청년정책과'라는 생소한 이름의 부서도 청정넷의 정책 제안이 이뤄낸 성과이다. 다양한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울시 안에 청년 문제를 전담하는 부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제안에 의해서였다. 청년들의 정책제안이 서울시 조직까지 새로 만들게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