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언론시민연합
민주언론시민연합
그러나 이 기사 속 주민들의 의견은 정말로 성남시 지역민들의 견해를 대변하고 있는 것일까? 여론조사 결과는 이와 정반대로 나타나고 있다. 일요신문과 SG리서치가 1월 20일 하루 동안, 성남시 거주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ARS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성남시 3대 복지정책의 중앙정부/경기도의 강제중단 여부에 대해 '정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59.4%로 '당장 중단해야 된다' 40.6%보다 높게 나타났다.
역량 부족한 다른 지역이 따라하니 멈춰라?…성남시 향한 황당한 윽박동아일보는 성남시의 예산 걱정에도 상당한 지면을 할애했다. <성남시장 "시민과 약속한 공약 지킨것" 복지차관 "절차 무시…명백한 法위반">(1/6), <재정자립 20%로 허덕여도…"공짜 산후조리 따라 하자">(1/8), <지자체 예산 年6% 늘때 복지부문은 14%씩 증가>(1/8) 등은 모두 지자체의 예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 보도에서 성남시의 복지 정책을 비판하면서 제시한 근거는 빈약하기 짝이 없다. 주로 "국회예산정책처가 발행하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예산 자료 중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의 수치를 분석했다"등의 지자체 예산을 제시하거나, "성남의 무차별적 복지가 다른 지역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 지자체장도 '표(票)를 위한 복지'의 유혹에 빠져들고 있는 것"이라는 식의 '심리학적 분석 기법'에 의존하는 식이다.
사실 "성남발 무상복지를 추진하는 지자체들의 재정 상황이 대부분 좋지 않"다고 해서 충분히 재정 자립이 이뤄지고 있는 성남시가 지역민들의 호응을 받고 있는 복지 정책을 포기해야 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 엄밀히 따져 이는 복지 정책의 문제가 아닌, 복지 정책을 시행할 수도 없을 정도로 텅 빈 국내 지자체의 곳간 문제이며, 이는 해당 지자체와 정부 차원의 고민과 해법이 필요한 지점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동아일보는 "성남발(發) 무상복지가 타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셈", "성남의 영향을 받은 지자체들이 재정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무상복지를 늘리려 한다는 비판", "성남발 무상복지가 타 지역으로 전염되듯 확산되고 있다"며 성남시를 해당 문제의 근본 원인으로 억지로 엮으려 노력했다.
이처럼 동아일보는 성남시의 3대 무상복지와 이재명 성남시장을 비판하겠다는 하나의 뚜렷한 목적의식에 따라 그 근거를 작위적으로 구성한 표적형 기획보도를 쏟아냈다. 이에 민언련은 동아일보의 <봇물터진 표복지> 관련 보도 5건을 2016년 1월, 이달의 나쁜 신문보도로 선정한다.
좋은 보도, 죄 없는 이에 죄 부여한 재판부에 책임 물은 한겨레조작‧오판, 그럼에도 '승승장구'하는 법조인들 한겨레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재심을 권고한 과거사 사건 중, 무죄 확정판결을 받은 75건의 원심 판결문을 전수 분석했다. 잘못된 수사·재판을 맡았던 책임자들의 실체가 제대로 밝혀진 바 없다는 데 주목해, 해당 사건의 담당 검사, 법관의 현재를 추적하기 위해서다. 한겨레의 이 조사 결과는 '승승장구'로 요약된다.
<'조작사건' 책임자 사전> 기획은 '재심 무죄 75건 해부', '책임 안지는 판검사', '훈장받은 조작수사'의 3회 차, 총 13건의 보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시리즈의 시작을 알리는 '재심 무죄 75건 해부'의 경우 4건의 단독 보도와 취재 방식과 취지를 소개한 한 건의 보도로 다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