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20일 경기도교육청 앞 기자회견“교육부와 교육청은 무책임, 무사안일 행정으로 뒷북치지 말라”
친환경학교급식경기도운동본부
이제는 고질적인 학교급식 구매과정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서울 ㄱ학교 영양교사는 "학교는 수수료를 내고 학교급식 전자조달시스템(eaT)을 통해 계약하지만 한사람의 사업자가 여러 사업장을 내어 운영하고 부정당업체가 되어도 사업자만 바꾸어 다시 학교에 납품하는 사례 빈번하다"며 "학교급식에 부정당업체가 들어오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납품업체 점검 및 운영사항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등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고,
서울 ㄴ학교 영양교사는 "구매조달할 때 5천만 원 초과 시 최저낙찰률 적용하는데, 대부분 품목은 5천만 원을 초과하지 않지만 공산품은 2식 이상과 학생규모가 2500명 이상일 경우 5천만 원을 초과한다"며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반 공산품, 냉장, 냉동품 등 5천만 원이 초과하지 않도록 공산품을 세분화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급식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eaT 확대 추진이 식재료 계약 투명성을 담보하지도 못한다고 말한다. 실제로 2011년 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에서 전북지역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eaT로는 86%가 부실 업체 참여 문제를, 72%가 업체 간 경쟁심화로 저질 식재료 이용 가능성을, 62%가 식재료의 불안정한 제공을, 54%가 식재료 안전성 확보가 불가하다고 응답했다. 이후 급식 관련 시민단체들은 eaT의 문제점에 대해 계속 개선을 요구해왔다.
친환경무상급식 풀뿌리국민연대 박인숙 상임대표는 "현재 입찰시스템은 비대면에 근거하여 권장하고 있지만 그 허점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운을 뗀 뒤, "입찰 업체가 마음만 먹으면 사기를 칠 수 있는 구조이고, 정부가 권장하는 eaT는 업체와 학교를 연결해주는 복덕방에 불과하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대안은 공공조달 시스템이다. 이미 전국의 60여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학교급식지원센터라는 공적인 조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상황인데 정부는 이런 대안에 대한 검토와 연구도 없는 상황"이라고 답답해했다.
배옥병 희망먹거리네트워크 대표는 "급식 비리의 온상으로 전락한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eaT)을 개선해야 할 정부가 오히려 eaT체계를 강화하겠다는 것은 급식 비리를 양산하자는 것이고 농수산식품공사에 업체들을 줄 세우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이어 "바람직한 대안은 식재료의 공공조달시스템으로 가는 것이다. 먹거리는 생명과 직결되는 것인데 이것을 가지고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자들이 장난치게 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는 각 광역·기초자치단체에서의 공공급식지원총괄센터 설치를 의무화해야 하고, 학교급식 예산의 50%를 지원해야 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