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택 경상대학교 교수(사회학).
경상대
먼저 이 책은 '왜 연대영역인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강 교수는 "연대영역이 공공영역과 함께 시민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자 요소라는 점을 지적하고 군사정권이 붕괴된 지 20년이 더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한국사회에서는 공공영역과 연대영역에 대한 억압이 사라지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에 와서는 더욱 강화되는 조짐조차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더구나 군사정권 시기에는 부상하지 않았던 공공영역과 연대영역의 시장화가 민간인 정부들, 특히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 의해 적극 추진되면서 심각한 문제로 새롭게 등장했다고 주장한다. 그 결과 현대 한국 시민사회의 공공영역과 연대영역은 국가권력의 억압과 시장화라는 이중의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어려운 상황에도 한국 시민사회의 연대영역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와 논의는 여전히 부족하고, 사회현실과 가치관의 변화로 연대의 성격이 크게 바뀐 현실에서 연대영역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역사상 어떤 '연대영역'이 있었을까. 강 교수는 근대적인 연대영역이 싹 틔운 조선시대의 협력과 상호부조의 문화를 살펴본 뒤 근대적 연대영역 형성의 대표적 사례인 개화기 독립협회 활동과 일제의 극심한 탄압 아래서도 연대실천과 연대정신이 극적으로 표출된 3ㆍ1운동을 고찰했다.
해방 이후에는 연대영역에 대해 갖은 탄압을 자행한 이승만 정부에서 시작하여, 4월 혁명, 1961년 군부세력의 쿠데타를 거쳐 법률과 감시체계, 수많은 관변단체를 통해 이승만 정권 시기보다 더욱 노골적으로 시민들의 연대영역을 탄압하고 통제한 전두환 군사정권까지 살펴보았다.
또 군사정권에서 민간인 정권으로 전환되던 과도기의 노태우 정권에서 김영삼 정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을 거치면서 시장주의와 시민주의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양상, 시민주의 정신이 급속히 확산된 까닭도 살펴보았다.
"시민사회의 강력한 연대는 지속되어야"강수택 교수는 '박근혜 퇴진'을 외친 2016년 11월 시민항쟁과 촛불연대를 분석했다. 촛불집회의 형태로 이루어진 촛불연대는 1960년대 말 미국의 반전운동 과정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여러 나라로 퍼졌다는 것.
우리나라는 1992년 첫 등장했다. 당시 온라인 서비스 유료화에 반대하는 집회에 촛불이 등장했다고 한다. 그 뒤 2002년 미군 장갑차에 의해 사망한 두 중학생(심미선, 신효선)의 추모 집회와 2004년 노무현 대통련 탄핵 반대집회, 2008년 미쇠고기 수입반대집회, 2009년 용산 철거민 진압 참사 추모집회, 2014년 세월호 희생자 추모집회 등에서 촛불이 이어졌다.
촛불의 의미에 대해, 강 교수는 '희생과 소망의 연대', '참여와 나눔의 연대', '안전과 지속의 연대',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연대', '감성적 연대 혹은 미학적 연대', '평화적인 연대', '광장의 연대', '첨단 기술적 연대'의 의미가 있다고 했다.
강 교수는 "2016년 11월 시민항쟁은 명예로운 시민혁명을 향한 위대한 비폭력 시민 대항쟁"이라 했다. 그는 이번 촛불은 '정부와 재벌의 정경유착', '세월호 참사', '백남기 농민 사망', '국사교과서 국정화', '문화계 블랙리스트', '정부의 일방적 노동개혁과 대학 구조조정', '한일 위안부 합의' 등 박근혜정부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국기문란과 부패, 권위주의적인 통치형태, 정부의 무능력과 무책임 등에 대한 시민들의 누적된 불만이 매우 중요한 배경이라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