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1일 노고단 정상에서추위와 배고픔을 극복하고 정상까지 함께 해준 가족들에게 감사한다
이정혁
좀 한심해 보였다, 일출 구경이... 생각이 변했다, 기가 약해진 듯하다
좀 한심해 보였다. 해가 바뀌었다고, 바다로 산으로 일출 보러 몰려가는 사람들을 볼 때 마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냥 지구가 한 바퀴 돈 것뿐이고, 태양은 40억 년 전부터 늘 그 자리에 존재할 따름이다. 달력이 새로 바뀌었다고 태양이 갑자기 흥에 겨워 일출 보러 온 사람들에게 답례품으로 바이오 에너지 한 캡슐씩 방출할 리는 없지 않은가.
마흔이 되기 전까지는 적어도 그랬다. 뜨신 방구석 놔두고 저 추운데 나가서 굳이 떨고 있는 이유가 궁금했다. 그러다 마흔 둘이 되면서 몸의 변화를 느꼈다. 꺾인다는 표현의 의미를 뼈마디와 근육, 오장육부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감지하기 시작했다. 호르몬 분비 감소 탓인지 우울증 비슷한 증세도 나타났다.
생각은 변한다. 특히나 제 몸에 터럭 하나라도 잘못될 것 같으면 순식간에도 변할 수 있다. 어른들 말이 틀린 게 없구나. 기가 약해진 게 분명하다. 어떻게든 기를 보충해야겠다.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이 태양의 기운이었다. 2017년의 최고 목표를 건강으로 세웠으니, 새해 첫 일출을 보며 양기를 폭풍흡입 해보자. 왜 매년 수많은 사람들이 일출을 보기 위해 몰려가겠는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신비로운 우주의 기운(?)이 있을 것만 같았다.
바다에서 뜨는 해는 좀 식상했다. 호미곶이니 정동진이니 일출의 명소로 알려진 곳에는 정초를 피해 몇 번 가본 적이 있었다. 시동 켜놓고 차에 앉아 있다가 해 뜰 즈음해서 바닷가로 이동하는 건 뭔가 날로 받아먹는 느낌이랄까? 정성이 부족해 보였다. 더구나 태양에너지만으로는 모자란 2%를 채워줄 추가적인 기운도 필요했다. 그래서 내린 결론이 바로 지리산 노고단 일출이었다.
태양의 기운과 지리산의 정기가 합쳐지는 그 곳. 일출을 보기 위해서는 새벽부터 노고단 정상에 올라야 하는 최소한의 예의가 필요한 바로 그 곳. 2017년, 나의 콘셉트와 딱 맞아 떨어졌다. 물론 지리산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기에, 그 결정의 중대한 결점은 알지 못했다. 소문만 듣고 주차장에서 한 삼십분 걸어 올라가면 되는 뒷산쯤으로 착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새벽 네 시. 숙소를 나섰다. 잠이 덜 깬 아이들에게 억지로 옷을 입혀 차에 태웠다. 게스트 하우스 주인의 말로는 그 시간에 가야 주차할 곳이 있을 거란다. 현지인의 말은 믿어야 한다. 4시 30분. 성삼재 휴게소의 주차장은 이미 만원이었다(참고로 주차요금도 실제 만원이 나왔다. 좀 쎈 편이다). 간신히 주차를 하고 일출 시간에 맞추기 위해 잠시 몸을 녹였다. 그때까지는 일출을 보겠다는 의지로 충만해 있었다.
5시 15분. 드디어 노고단 정상을 향해 출발했다. 아내와 아이 손을 한명 씩 잡고. 시작은 순조로웠다. 천문대에서나 볼 법한 별들이 머리 위를 가득 덮고 있었다. 별의 숲을 통과할 때까지는 콧노래도 흥얼거렸다. 아이들 걸음으로 한 시간 반쯤 걸릴 겁니다, 라는 말을 들었을 때도 나는 아이들보다 월등히 체력이 좋을 거라 생각했었다. 오산이었다.
눈이 얼어붙은 빙판길, 아이 둘 데리고 올리가는 험한 여정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