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김연정 기자) 올해 9천400억원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는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금융당국이 신규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최종 결론이 주목된다.
대우조선이 2015년 4조2천억원을 지원받고도 지난해 또다시 1조원대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도 금융당국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4월 4천400억원을 시작으로 7월 3천억원, 11월 2천억원 등 올해 총 9천400억원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대우조선은 당장 4월 만기 도래 회사채를 막는 데는 무리가 없지만, 하반기로 가면 유동성 위기가 심화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대우조선은 2015년 10월 4조2천억원의 지원을 받고도 별반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대우조선은 국민 혈세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한다는 비판이 거세질 것으로 보고 정부 추가 지원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단, 일단 신규 수주로 유동성 위기를 정면 돌파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아직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하기엔 성과가 크게 못 미치고 있다.
최근 삼정KPMG의 대우조선 유동성 실사에서도 대우조선에 연내 많게는 3조원대의 부족 자금이 발생한다는 추산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대우조선에 최대 3조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국책은행, 시중은행, 회사채 채권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광범위한 채무 재조정을 통해 손실을 분담하는 것을 전제로 내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대우조선이 파산할 경우 선박 건조 취소에 따른 손실 규모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과 사채권자 시중은행을 합쳐 모두 57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로썬 대우조선을 어떻게든 살려보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우조선이 결국 워크아웃에 들어갈 가능성을 거론하기도 한다. 법적 구조조정 절차 없이 신규자금 지원이 이뤄지면 여론의 비판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워크아웃 체제로 전환될 경우에도 해외 선주들의 계약 '줄해지'와 대규모 선수금 환급요청(RG콜)이 이뤄질 가능성이 커서 워크아웃 결정은 쉽지 않다는 관측도 많다.
현재 대우조선은 108척의 수주잔량을 보유하고 있는데, 법정관리보다 낮은 구조조정 단계인 워크아웃에 들어가더라도 선주들로부터 계약취소를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선수금환급보증(RG)을 선 금융기관들이 계약금을 다 물어줘야 한다.
수출입은행이 대우조선에 최대 금액인 7조원 규모의 RG를 발급했고, 산업은행과 농협 등 시중은행들도 RG 발급을 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워크아웃설'이 거론되는 배경으로 금융당국이 시중은행들로 하여금 출자 전환 및 대출금의 주식 전환 등에 동참하도록 만들려는 '압박용 카드'라는 해석도 내놓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우조선이 이날 공시한 지난해 연결기준 잠정 실적이 예상보다 훨씬 큰 폭의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나 신규 자금 지원 결정에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대우조선은 작년 영업손실 1조6천89억원, 당기순손실 2조7천106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대우조선은 작년 4분기 결산 반영 문제를 두고 삼일회계법인과 물밑에서 강한 기싸움을 벌여왔으나, 회계법인이 보수적 잣대를 들이대면서 4분기 손실 규모가 큰 폭으로 늘었고, 덩달아 전년도 영업적자와 당기순손실이 각각 1조원대, 2조원대로 잡혔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 지원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할 경우 신규 자금 지원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무려 4조2천억원의 자금을 투입하고도 당기순손실이 2조7천억원이나 발생하며 회사 사정이 나아지지 않았고, 자본 확충 이후에도 부채비율이 여전히 2천731%에 달하기 때문이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회계법인이 보수적인 잣대를 들이대 손실 규모가 많이 커진 것 같다"며 "해양플랜트 인도 지연이나 수주한 업체들에 파산 가능성 등 위기상황이 있는 경우를 모두 불확실성으로 보고 손실 처리를 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