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통령후보가 경남지사 사임서를 늦게 제출하고 선거관리위원회 통지를 늦추는 등으로 도지사 보궐선거를 방해하자 전국의 20개 시민단체들이 "경남 도민의 공직자 선출권을 훔쳐가려 한다"며 비난하고 나섰다.
특히 이들 시민단체들은 홍준표 후보에게 "4월 7일 금요일에 선관위에 도지사 사직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하고 "국민의 지방자치권을 훔친 도둑에게 대통령 후보 자격없다"며 실력 행사에 나설 뜻도 밝혔다.
참여연대, 마창진참여자치시민, 울산시민연대 등 2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는 7일 성명을 내고 "홍 지사가 만일 7일 사직서류를 선관위에 제출하지 않으며 홍 지사에 대한 항의 활동을 5월 9일 대선 때까지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무소속 윤종오(울산 북구) 국회의원은 지난 6일 "자유한국당 대통령 후보인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공직선거법의 미비점을 이용, 보궐선거를 무산시키려는 행위가 향후 반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홍준표방지법'을 발의한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윤종오 의원 '홍준표방지법' 발의키로)
전국 시민단체는 왜 홍준표 지사에게 7일까지 사직 요구하나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는 성명에서 "국민의 대표인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선 자유한국당 대선후보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경남 도민들의 도지사 선출권을 훔치는 도둑이 되려는 것인가"고 되묻고 "국민의 기본권, 특히 자치단체장을 직접 뽑는 국민의 지방자치권을 부정하는 이에게 국민의 기본권을 수호할 헌법적 의무를 진 대통령 후보의 자격은 가당치 않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현행 공직선거법은 도지사와 같은 자치단체장의 임기 중 사임으로 열리는 보궐선거는 4월의 첫 번째 수요일 또는 그 다음 주 수요일에만 실시되도록 정해져 있다. 다만 보궐선거 사유 발생, 즉 도지사직 사임 등이 선거일로부터 최소 30일 전에 이루어져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보궐선거는 다음 해 4월로 넘어간다.
시민단체들은 "그런데,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에는 대통령 선거일에도 보궐선거를 한 번더 실시할 수 있다"면서 "따라서 올해의 경우 5월 9일에 대통령 선거가 있기 때문에 홍 지사가 4월 9일 또는 그 전에 선거관리위원회에 도지사 사직통지서를 제출하면 '30일 전 보궐선거 발생 사유 발생'요건을 충족해 도지사를 뽑는 보궐선거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그러나 알려진 것처럼, 홍 지사는 일요일인 4월 9일에 도지사직을 사임하고, 선관위에는 평일인 4월 10일(월요일)에 사직 서류를 낸다는 것"이라면서 "이렇게 되니, 대선일인 5월 9일에 경남도지사 보궐선거를 할 수가 없게 된다. 30일에서 하루 모자란 29일을 남기고 사직서류를 선관위에 내는 꼼수를 홍 지사가 부리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은 그러면서 "홍 지사가 그런 꼼수를 부려 생기는 피해와 부작용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다른 무엇보다도 도지사를 직접 선출하여 도정을 맡길 수 있는 경남도민의 공직자 선출권, 지방자치권이 짓밟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고 지적했다.
또한 "도지사 출신이, 그리고 자유한국당을 대표해서 국민의 대표인 대통령 후보에 출마한다는 사람이 이처럼 국민의 기본권인 지방자치권을 짓밟겠다는 것을 어떻게 용납할 수 있겠는가"면서 "이런 이가 대통령이 된다면, 지방분권이나 지방자치 활성화, 주민참여제도 확대, 국민의 참정권 보장 등은 꿈도 꾸기 어려울 것"이라고 비난했다.
따라서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는 "시민의 참여와 자치, 분권과 연대의 정신에 기반하여 전국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우리는 홍준표 경남도지사 겸 자유한국당 대통령 후보의 이런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경남도민의 권리를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4월 7일 금요일에 바로 사직서류를 선관위에 제출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그렇지 않다면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는 경남도민, 더 나아가 국민의 공직자 선출권과 지방자치권을 훔쳐간 홍 지사에 대한 항의 활동을 5월 9일 대선 때까지 이어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는 경기북부참여연대 / 대구참여연대 /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 / 부산참여연대 /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 /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 여수시민협 / 울산시민연대 / 익산참여자치연대 / 인천평화복지연대 / 제주참여환경연대 / 참여연대 / 참여와자치를위한춘천시민연대 / 참여자치21(광주) /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 충남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 /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 / 평택참여자치시민연대 등으로 구성됐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