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대선기획취재팀은 지난해 20대 총선 당시 비례대표 정당별 득표율과 각 선거구의 평균연령, 학력, 경제력 등 사회경제지표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오는 9일 19대 대통령선거 개표 결과가 나오는 대로 각 대선 후보의 지역별 득표율과 사회경제지표 비교 분석 결과도 발표할 예정입니다. [편집자말] |
가난하고 못 배우면 홍준표 후보나 보수적인 여당을 지지할까?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조원진 후보의 새누리당과 다름)은 재산과 소득(경제력), 교육 수준이 낮고, 평균 연령이 높은 지역에서 지지율이 높은 반면,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은 재산과 소득, 교육 수준이 높고 평균 연령이 낮은 지역에서 지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월 20대 국회의원 총선거 비례대표 정당별 득표율과 네 가지 사회경제지표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이른바 '세대 투표' 영향으로 중장년층일수록 여당 지지율이 높고, 젊은층일수록 야당 지지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오마이뉴스>는 한 발 더 나아가 각 선거구별 평균 연령뿐 아니라 교육 수준(평균교육연수)과 경제력(평균부동산가격과 평균건강보험료)을 알려주는 지표들과 각 정당별·후보별 득표율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실증 분석을 시도했다.
<오마이뉴스> 대선기획취재팀은 오는 9일 19대 대통령 선거에 앞두고, 우선 지난 20대 총선 비례대표 정당별 득표율과 사회경제지표 네 가지를 비교 분석했다. 250개 각 선거구의 사회경제지표가 각 정당 또는 후보별 득표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자는 취지였다. 분석 결과 각 지표에 대한 새누리당과 야3당의 상관관계는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vs. 민주-국민의-정의당, 유권자 지지 성향 정반대
지난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평균 연령이 높고 재산과 소득, 교육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지지율이 높았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은 평균 연령이 낮고 재산과 소득, 교육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 지지율이 높았다. 사실상 야3당은 유권자 성향이 유사한 지역에서 서로 경쟁하고 있는 셈이다.
각 선거구 정당별 득표율과 대비시킨 사회경제지표는 ▲유권자 평균연령 ▲유권자 평균교육연수 ▲시구군 주택평균가격 ▲ 시구군 평균 건강보험료 등 네 가지다.
유권자 평균연령은 행정자치부에서 지난 2016년 4월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유권자 평균교육연수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5년 19세 이상 시군구별 교육정도별 인구를 사용했다. 각 시군구 유권자들의 경제력을 알려주는 지표로는 평균주택가격과 평균건강보험료를 사용했다.
주택평균가격은 지난 2016년 4월 1개월간 거래된 아파트, 빌라, 다세대주택 7만3109건의 실거래가 제곱미터당 평균가격(국토교통부 자료)을 적용했다. 통계청과 국세청에서 전국 시군구별 평균소득은 발표하지 않아, 시군구 평균소득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국민건강보험공단('2015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에서 발표한 평균 건강보험료를 이용했다. 건강보험료는 소득과 재산을 반영해 부과하기 때문에 소득과 재산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노년층 학력-경제력이 젊은층보다 낮은 탓도 있어"
<오마이뉴스> 통계 회귀분석 자문을 맡은 이원재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총선 정당별 득표율과 각 지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새누리당과 나머지 3당이 반대 방향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울러 선거구에 상관없이 각 정당 득표율과 연령, 교육, 재산과 소득이 미치는 영향을 따졌더니 민주당의 부동산가격 효과를 제외하면 모두 예상대로 나왔다고 덧붙였다.
이원재 교수는 "총선 정당 지지율이 대통령 후보 지지율로 그대로 나타난다고 가정해선 안 된다"면서도 "이들 사회경제지표 데이터가 1년 사이에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19대 대선) 선거구별 투표율 데이터와 분석해도 문제는 없다"고 밝혔다.
다만 이 교수는 "연령과 경제력, 학력이 서로 독립적이라면 연령이 높고 경제력이 낮고 학력이 낮으면 새누리당 지지라는 말이 자연스럽지만, 한국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연령이 경제력과 학력을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봐야 한다"면서 "젊더라도 경제력과 학력이 매우 낮으면 새누리당을 지지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기보다, 아예 젊으면 노년층보다 경제력, 학력이 낮을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 사회의 경우 연령(세대) 효과가 계급(경제력)이나 이념(학력) 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노년층에서 지지율이 높은 정당이나 후보자 지지층의 경제력과 학력 수준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는 의미다.
<오마이뉴스>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오는 9일 19대 대통령선거 개표 결과를 발표하는 대로 이들 네 가지 사회경제지표와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대선기획취재팀]
구영식(팀장) 황방열 김시연 이경태(취재) 이종호(데이터 분석) 고정미(아트디렉터)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