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 과정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 궁극적으로는 탈원전으로 정책방향이 확장될 수 있게 해야 한다.
강민혜
19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 홀에서 환경운동연합이 주관한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이번 공론화 문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이며, 어떻게 탈핵의 방향으로 원전정책을 이끄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지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청주환경운동연합, 부산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불교생태콘텐츠연구소, 한국YWCA연합회, 생태지평, 기독교환경연대, 전국교직원조합, 환경법률센터, 그린피스 등에서 60여 명이 참석했다.
5, 6호기 집중해야 하나, 큰 판을 짜야 하나
토론회의 좌장을 맡은 구도완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장은 "우리에게 공론화라는 것은 새로운 시도다, 탈핵의 길도 처음 가는 길"이라며 "어떻게 하면 좋을지 지혜를 모으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토론회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날 토론의 핵심은 공론화위원회가 구성되고 나면 지정해야 하는 "의제 설정"에 있었다. 어떤 의제를 설정하는지에 따라 신고리 5, 6호기에 대한 시민배심원의 결정이 달라질 것이라는 관점이다. 신고리 5, 6호기 중단 자체에만 전력집중을 해야 하는가, 아니면 거기에 집착하지 말고 탈핵 지평을 넓히는 기회로 삼아야 하는가에 대한 공방이 벌어졌다.
공론화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해서 총 9명으로 구성돼 있다. 인문사회, 과학기술, 조사통계, 갈등관리 분야에서 각 2명씩 선정해 이해관계자를 배제하고 중립적인 인사들로 구성하겠다는 것이 원칙이다.
이렇게 구성된 공론화위원회에서 일반 시민으로 구성된 100~300명의 시민배심원을 뽑는다. 이들은 3개월간 공론화위원회가 엄선한 전문가를 통해 학습한다. 공론화위원회에서 제시하는 의제 등을 기반으로 토론과 숙의 과정을 거쳐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 여부에 대해 최종 판단을 내리게 된다. 이러한 진행 절차를 공론조사 방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