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물 떠 먹었는데..." 볼 수 있지만 살 수 없는 고향

[인터뷰] 추석 앞두고 고향 방문한 밤섬 실향민 유덕진씨

등록 2017.09.20 10:26수정 2017.09.20 10:26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밤섬 실향민과 일반인이 승선한 바지선
밤섬 실향민과 일반인이 승선한 바지선임영근

 밤섬 실향민 고향방문
밤섬 실향민 고향방문임영근

마포구는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을 맞아 밤섬 폭파로 고향을 잃은 밤섬 마을 실향민들을 위해 16일 고향 방문 행사를 열었다. 밤섬은 한강 하류의 유일한 철새도래지로 현재는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된 자연생태보전지역이다.


 밤섬 실향민 노부부가 이곳에서 거주했다고 말했다.
밤섬 실향민 노부부가 이곳에서 거주했다고 말했다.임영근

이번 행사는 마포문화원과 밤섬 보존회(회장 유덕문)의 공동주최로 열렸으며 밤섬 실향 원주민 50여 명과 지역주민 등 약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매년 추석이 오기 전 조상들에게 제를 올리며 고향에 대한 애틋함과 아쉬움을 달래왔다. 이날 행사에는 취재기자단도 동행했다.

 밤섬 주민이 1968년 전까지 생활했던 곳의 표지석
밤섬 주민이 1968년 전까지 생활했던 곳의 표지석임영근

밤섬은 1968년 여의도 윤중제 조성을 위해 폭파됐고, 당시 거주하던 62가구 443명의 주민들은 마포구 창전동 소재 와우산 기슭으로 정착지를 옮겼다. 폭파에 의해 밤섬 당시 면적 5만8000㎡(약 1만7550평)의 대부분은 없어지고 일부만 남았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한강 상류의 퇴적물이 쌓여 지금의 밤섬에 이르게 됐다.

 밤섬은 퇴적물이 쌓여 자연적 생태계가 이루어졌다.
밤섬은 퇴적물이 쌓여 자연적 생태계가 이루어졌다.임영근

이후 밤섬은 1999년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1호로 지정되면서 일반인들의 출입이 통제됐다. 오늘날의 밤섬에는 버드나무, 갯버들 등의 식물이 자라고 있고, 흰뺨검둥오리, 알락할미새, 제비, 중대백로 등의 다양한 새들이 서식하고 있다. 2012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됐고, 총면적은 24만1000㎡(7만3100평)에 달한다.

 밤섬 실향민 유덕진씨. 1968년 전 밤섬마을이 산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밤섬 실향민 유덕진씨. 1968년 전 밤섬마을이 산처럼 보였다고 말했다.임영근

밤섬 실향민 유덕진(71)씨를 만나 과거의 밤섬과 관련해 이야기를 나눴다. 다음은 유씨와의 일문일답 내용이다.

- 폭파되기 전 밤섬의 모습은 어땠나요?
"19살에 지원 입대하기 전까지 밤섬에서 살았습니다. 1966년 이주 발표 후 1967년 마포구 창전동으로 이주했습니다. 당시에는 한강 물을 먹고 살고,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 호롱불로 생활했습니다. 한여름에는 넓은 백사장에서 놀기도 하고, 추운 겨울 한강이 얼면 배가 다닐 수 없어서 섬 밖을 나가지 못했습니다.


우리 가족은 개발되기 전의 여의도 모래밭에서 땅콩 농사를 지은 돈으로 밤섬에서 먹고 살았습니다. 땅콩밭 면적이 꽤 넓었던 기억이에요. 돌아가신 부모님 덕분에 잘 지냈던 것 아닌가 싶습니다."

- 당시 밤섬 마을의 교육문제는 어떻게 해결했나요?
"초등학교(옛 국민학교)는 가까운 대방동 방면으로 나가기 편리해서 그쪽으로 많이 다녔습니다. 모래사장이 갈라진 길이 있어 통행하기 수월했습니다. 마포구 관할 지역으로 학교에 다니려면 당시 유일한 제1한강교 방면의 모래사장을 이용해 다리를 건널 수 있었습니다. 간혹 그쪽으로 다니던 학생이 있었습니다."


- 밤섬을 떠날 당시 심경은 어땠나요?
"당시 살길이 막막했지요. 주민들이 대부분 슬퍼했습니다. 어떤 분들은 울기도 했고요. 고향 땅이 그립다고 다들 그렇게 말했지요. 그런 분들은 지금 거의 고인이 됐습니다. 정서적인 삶은 현대 문명에 비교해서 좀 낙후되긴 했었지만 제가 생각해봐도 그 시절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 와우산 자락에는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주하게 됐나요?
"정부 보상은 특별히 없었습니다. 밤섬에 거주하던 가구 세대에 한해 '와우산 부근에 땅을 제공하고 집은 세대원들이 판단해서 짓고 살아라'라고 해서 각 가구당 2명이 번갈아 공사장에 나와 터를 다듬고 일을 시작해 한 가구당 약 20평 규모의 집을 지었습니다. 그때 지었던 집은 현재 새 아파트가 들어서 사라졌지만 생각해보니 다가구 공동주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 밤섬에 나무가 우거지면서 하나의 숲이 됐습니다.  그 시절에도 그랬나요?
"옛날에는 나무가 별로 없었습니다. 퇴적물이 떠밀려 내려와 자연적으로 숲이 이뤄지면서 철새 도래지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밤섬은 한강 수위보다 약 80m 정도 높아 예전에 사람들이 살 때 밤섬이 물에 잠긴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다행이었습니다."

- 밤섬 실향민 고향 방문은 해마다 참여하고 있나요?
"가족이 밤섬보존회​ 회장을 맡고 있어 거의 참석하고 있습니다. 젊은 시절에도 한전(당인리 발전소)에 오래 근무했습니다. 유덕문 밤섬보존회 회장과 같은 직장에 근무했을 때부터 고향인 밤섬을 방문했었습니다."

- 밤섬 보존회는 어떠한 일을 하나요?
"밤섬은 밤처럼 생긴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뛰어난 경치를 지녀 율도명사(栗島明沙) 즉, 맑은 모래가 넓게 펼쳐진 섬의 풍광으로 마포팔경 중 하나로 꼽힌 것 같습니다.

500년 전에도 조선의 서울 천도와 함께 배 만드는 기술자들이 처음 정착했다고 합니다. 이곳은 마포항이 물산의 집산지로서 번성하면서 고유의 전통한선(황포돛배) 제조업이 발달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배짓기와 진수 등의 과정에서 유래된 '마포나루배 진수놀이'라는 독특한 전통문화도 간직해오고 있습니다. 이런 문화를 유지하고 지켜오고 있습니다."

 유덕진(좌측), 유덕문(우측) 밤섬보존회장 두 형제 모습
유덕진(좌측), 유덕문(우측) 밤섬보존회장 두 형제 모습임영근

 마포구 와우산자락 공동주택에 거주했던 시절을 설명하고 있다.
마포구 와우산자락 공동주택에 거주했던 시절을 설명하고 있다.임영근

 청계천발원지가 서강대교 하단이었다고 유덕진씨가 설명했다.
청계천발원지가 서강대교 하단이었다고 유덕진씨가 설명했다.임영근 기자

#마포구 #밤섬 실향민 #고향방문 #귀향 제례 #밤섬 생활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항상 긍정적사고로 활동적인 소유성격으로서 사진과의 취미가 많아 앞으로 좋은 소식을 전하게되어 매우 반갑습니다. 움직이며 발로 뛰는 그러한 뉴스정보를 가지고 열심히 해볼까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쌍방울 법인카드는 구속된 김성태를 따라다녔다 쌍방울 법인카드는 구속된 김성태를 따라다녔다
  2. 2 엄마 아닌 여자, 돌싱 순자의 사랑을 응원합니다 엄마 아닌 여자, 돌싱 순자의 사랑을 응원합니다
  3. 3 [단독] 홍준표 측근, 미래한국연구소에 1억 빌려줘 "전화비 없다고 해서" [단독] 홍준표 측근, 미래한국연구소에 1억 빌려줘 "전화비 없다고 해서"
  4. 4 '윤석열 퇴진' 학생들 대자보, 10분 뒤 벌어진 일 '윤석열 퇴진' 학생들 대자보, 10분 뒤 벌어진 일
  5. 5 고3 엄마가 수능 날까지 '입단속' 하는 이유 고3 엄마가 수능 날까지 '입단속' 하는 이유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