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꺼진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실
윤지원
지난 2017년 4월 6일, 전남대학교의 2017학년도 총학생회 재선거는 이틀간의 연장투표를 진행했음에도 투표율 50%를 채우지 못해 무산됐다. 이미 2016년 11월 본 선거에서도 투표율이 부족해 연기됐던 2017학년도 전남대 총학생회는 이로써 공석으로 남게 됐다. 비상대책위원회가 총학생회 집행부를 대행하고 있다.
사정은 연세대도 마찬가지다. 연세대학교는 지난 2016년 11월에 있었던 2017학년도 총학생회 선거에 아무도 입후보하지 않아 2017년 3월 28일 보궐선거를 진행했다. 그러나 31일까지 투표기간을 연장했음에도 최종 투표율이 26.98%에 그쳐 총학생회 결성이 무산됐다. 전남대와 연세대 모두 각 대학 총학생회 역사상 처음 맞이하는 상황이었다.
2017학년도 총학생회를 조직한 대학들이라 하더라도 안심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서울대학교는 2016년 11월 14일부터 연장기간 포함 약 일주일에 걸친 선거 끝에 50%의 투표율을 겨우 넘길 수 있었다(51%). 이외에도 전북대(55%)ㆍ경북대(53%)ㆍ충남대(53%)ㆍ부산대(52%) 등 다수의 대학들이 2017학년도 총학생회 선거에서 힘겹게 50%의 투표율을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캠퍼스 선거 투표율 저조 현상'을 놓고, 언론들은 대학생의 캠퍼스 정치에 대한 무관심을 지적했다. 국민일보는 "56년 만에... 총학 없는 연세대"라는 기사를 통해, 제도권 정치에는 관심을 보이지만 캠퍼스 정치에는 무관심한 대학생들의 모습을 지적했다.
세계일보 역시 "촛불은 들지만… '총학' 무관심한 대학가"라는 기사를 통해 적극적으로 민주주의를 위해 행동하던 대학생들이 대학교 안의 문제에는 무관심하다며 대학생들을 질책했다.
학내 언론도 비슷한 목소리를 냈다. 전남대학교의 대학신문인 '전대신문'은 "총학 재선거 무산, 실망스럽고 안타깝다"라는 사설에서 "자발적으로 자치 기구를 결성하지도 못하고, 자신들의 권리와 책임도 모르며, 그것을 실천하지 못하는 대학생은 상상할 수 없다"라며 대학생들에 대한 실망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캠퍼스 투표율 저조 현상의 책임을 대학생에게서 찾는 건 교수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고려대 이명진 교수는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제도권 정치를 향해선 온라인 댓글을 달아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비(非)제도권 정치엔 관심조차 갖지 않는 '손가락 민주주의'의 한 단면이 바로 연세대 사례"라고 말하며, 대학생들의 실천 없는 민주주의 현상이 캠퍼스 투표율 저조 현상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중앙대 이나영 교수 역시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학내 선거는 많은 헌신이 필요하고 조직화의 경험도 있어야 하는데 지금 세대는 이런 게 약하다"라고 밝히며, 대학생들의 부족한 공동체 경험을 주요 원인으로 지적했다.
캠퍼스 선거 투표율 저조 현상, 대학생의 잘못?
그러나 최근 대학생들이 보여준 정치 참여 열기는 뜨거웠다. 지난 겨울, 전국적으로 100개 이상의 대학에서 대학생들이 시국선언문을 발표하며 '촛불혁명'에 힘을 보탰다. 대한민국을 넘어 UC버클리나 옥스퍼드대학 등 외국대학에 유학 중인 대학생들까지 시국선언에 동참하기도 했다.
이 열기는 국회가 탄핵소추안을 가결할 때나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 청구를 인용할 때에도 이어졌는데, 대학생들은 동맹휴학운동을 펼치며 거리로 나서거나 2차 시국선언을 발표하며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