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현주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장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김 : "지금까지의 일자리 정책은 대단히 많은 비용을 쓰면서도 당사자들의 정책에 대한 체감이 낮았다. 청년수당 참여자들이 사회에 대한, 정책에 대한 신뢰가 생겼다는 이야기를 한다. 정책을 한 번이라도 체감한 사람은 사회에 대한 신뢰의 폭이 넓어진다."기 : "우리 사회는 보편정책을 경험해 본 적이 별로 없다. 기초노령연금과 국민건강보험 정도다. 보편정책에 대한 체감이 축적되어야 더 많은 사람들이 공공을 신뢰할 수 있게 되고, 동반 상생할 수 있다."청년수당의 더욱 촘촘한 확대기 : "올 초에 청년의 상황을 유형화해서 수당 지급 기간이나 액수를 달리하는 것에 대한 제안이 있었다. 앞으로 관련 논의가 더 있을 거다."김 : "청년이 겪는 어려움은 여러 가지가 있고, 각각의 어려움들이 얽히고설켜 새로운 어려움이 발생한다. 청년정책이 종합적인 사회 정책이 되어야 하는 이유다."기 : "(현재로서는) 청년들이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가 거의 없다. 그렇다 보니 청년들이 접근할 수 있는 곳이 학원, 소위 시장이다. 민간 서비스들은 수준과 비용의 격차가 크고, 관련 정보를 얻기도 어렵다. 센터에서는 청년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들을 공공의 영역에서 제공하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직접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하고, (청년이)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라면 관련 기관과 연결한다."청년수당 전국화기 : "많은 지자체에서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를 방문하고 있다. 수당을 지급하고 어떻게 쓰이는지를 감시하는 것보다 청년이 수당으로 확보한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함께 고민을 나누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이라는 데는 다들 동감한다. 어느 지자체든, 세금을 쓰고만 끝내고 싶어 하지는 않는다. 다만 비용의 문제인 거다."김 : "과감하게 투자할 필요가 있다. 매년 일자리 정책에 쏟아붓는 돈의 반만 써도 어마어마한 변화가 일어날 거다. 청년정책네트워크 안에서는 청년기본법을 통해 청년 정책에 대한 법적·제도적 기반이 잘 마련돼야 한다는 것에 대한 논의가 있고, 지역별 청년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어떻게 모아낼 것인지, 연대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있다."기 : "소위 '비구직니트'가 정책에 참여하는 데도 청년수당이 좋은 기제가 될 거다. 청년수당이 모델로 한 프랑스의 '알로까시옹'은 프로그램이 마련된 상태에서 청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수당을 유인책으로 활용한 정책이다."김 : "청년수당 참여자들끼리의 네트워크가 만들어져, 각 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도 경험을 공유하고 청년보장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확장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다. 청년의 삶이 지속 가능하지 않으면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을 더 많은 사회 구성원들이 이해하면 좋겠다."사회는 청년을 미래세대라고 부른다. 정작 미래세대는 '미래가 없다'고 말한다. 그것은 사회가, 청년이 겪고 있는 현실의 어려움들을 제대로 들여다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과거로부터 이어져와 쉽게 깰 수 없을 정도로 견고해진 문제적인 구조에 미래세대를 끼워 맞추려 했기 때문이다.
미래세대가 먼저 손을 내밀었다. 함께 문제를 해결해 보자고. 함께 미래를 만들어 달라고.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Seoul Youth Guarantee Center)는 서울 청년들의 사회 진입 과정을 지원하고, 지역사회와 각 분야의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해 '서울형 청년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공유하기
청년수당 '검열', 한 사람의 삶을 압수수색 하는 것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