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만 명이 참여한 소등 퍼모먼스지난 2016년 12월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박근혜 퇴진 공범처벌과 적폐 청산의 날-8차 촛불집회'에서도 세월호참사 진상규명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1분 암흑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본집회가 시작된 이후 6시 40분께 촛불집회에 참석한 65만 명이 일제히 동참하며 "박근혜는 퇴진하라. 박근혜를 구속하라. 황교안은 물러나라. 김기춘을 구속하라"고 외쳤다.
이들은 "대한민국은 아직도 겨울 공화국이다"라며 "어둠과 빛이 공존하는 혼돈의 시간을 하루라도 빨리 끝내기 위한 촛불이 되겠다"는 마음을 모아 소등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이들은 "곧 새벽이 오는 줄 알았다. 그러나 어둠은 아직 물러가지 않았고 잘못이 없다. 모른다. 버티겠다고 한다"며 "스스로 물러갈 어둠이 아니기에 촛불을 끌 수 없고 더 크게 타 올라야 한다"고 말했다.
유성호
안녕하세요, 저는 대한민국의 촛불시민 이창희라고 합니다. 우선, 촛불혁명의 성공을 축하하며 대한민국의 1700만 촛불시민을 인권상 수상자로 선정해주신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 상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는 뉴스를 듣지 못했다면, 해결되지 않은 일상의 고단함에 치여서 우리가 같이 만들어낸 '승리'를 까맣게 잊어버릴 뻔했습니다. 이 상을 계기로 그날들의 승리에 나도 촛불 한 개를 더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해내며, 질척한 현실에 방치되었던 저의 자존감을 다시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다행입니다.
2016년 겨울, 촛불이 타오르던 광장에 있었습니다벌써 1년이 지났네요. 지난해 10월, '최순실'이라는 낯선 이름을 뉴스에서 듣게 된 후로 저는 놀라운 것들을 경험했습니다. 그동안 이해가 되지 않던 정부의 모든 행위들이 납득이 되기 시작했거든요. 그들이 왜 저렇게 국민을 무시하려 했는지, 국민의 기대와는 전혀 관계없이 정책을 결정하는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국민에게 '대한민국'은 왜 이렇게 가혹하게 대하는지, 정말 혼란스러웠던 그 모든 상황들이 이해되기 시작했던 거예요.
'설마' 했던 것들이 사실로 드러나고, 우리끼리 반목하며 서로 싸우게 만들었던 이유도 '국정 농단 세력'의 이익 때문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자 너무나 허탈했어요. 정권 내내 '대한민국'으로부터 배신당하면서 '정말 이민을 가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했었거든요.
그래서, 저는 촛불이 타오르고 광장에 자리를 펴고 앉을 수 있었던 순간들이 너무나 소중하게 느껴져요. 지난해 11월 12일이었을 거예요. 제가 참석했던 첫 번째 촛불집회였는데, 시민 문화제에 참석하기 위해 광화문에 자리를 펴고 앉은 순간부터 눈물이 나기 시작하더라고요. 광장에서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것도, 국가와 권력에 대해 이렇게 환한 광장에서 위축되지 않고 당당하게 얘기할 수 있다는 것도 너무 행복했던 것 같아요.
그런 기분 아세요? 너무 좋아서 자꾸 웃음이 나고, 입으로는 함성에 동참하여 깔깔거리고 있는데, 자꾸 가슴이 울컥하면서 눈물이 쏟아지는 상황 말입니다. 그날, 제가 그랬어요. 기괴한 장면이죠. 한낮의 대한민국에서 이렇게 당당하게 '권력에 반대한다'고 외칠 수 있다는 것이 꿈만 같았거든요.
얘기가 자꾸만 과거로 돌아가는데, 죄송해요. 2015년 11월 14일에도 저는 광화문에 있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광화문 광장까지는 가지도 못하고 8차선 대로에서, 누구 하나 빠져나갈 수 없도록 빽빽하게 쳐 놓은 차벽 안에 갇혀 있었죠. 대한민국의 모든 경찰에게 총동원령이라도 내려진 것처럼 광화문 광장엔 경찰들로 가득했고, 1차 민중총궐기에 참석한 사람들은 사거리의 통제구역 안으로 몰아넣어졌어요.
그날 시위대와 합류하려던 시민들은, 빽빽한 차벽 사이로 사람 하나가 간신히 지나갈 수 있는 정도의 좁은 통로를 통해서만 들어갈 수가 있었답니다. 게다가, 국민을 보호해야 할 공권력은 국민에게 열어준 '개구멍'을 통과하는 우리를 여기저기에서 채증하며, 계속 겁을 주는 겁니다. '나는 네가 누구인지 다 알고 있으니까, 조심해' 하는 듯한 압박이 계속 느껴졌어요.
여지껏 '겁먹은 시민'으로만 살았는데... 그날 광장이 열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