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회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처음부터 정치를 끌어들였다. 올림픽에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고, 국가가 대표선수 선발권을 가지며, 올림픽 메달 순위를 나라별로 매기도록 해 정치가 개입할 틈을 만들었다. 2차 세계대전 뒤에는 상당수 IOC위원들이 자국 정부의 요직을 맡고 재정지원을 받으면서 IOC의 독립적 위상을 훼손했다.
올림픽의 정치화, 이념과 자본의 대리 전쟁터나치 정권의 탄압을 피해 망명한 철학자 에른스트 블로흐는 '비정치적인 스포츠는 없다'며 올림픽을 정치도구화한 히틀러를 비판했다. 그때까지 여성 참여 문제 등이 쟁점이었던 올림픽은 베를린에 와서 본격적인 인종차별과 배타적 민족주의의 폭력에 오염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맞서 영국과 프랑스, 미국 등에서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을 보였으나, 논란 끝에 모두 참가했다.
나치 정권은 유태계 독일 선수들의 참가를 막고 육상 4관왕 제시 오언스를 비롯해 유색인종에 대한 노골적인 인종차별을 저질렀다. 베를린 시내 곳곳에 고대 올림픽 영웅들의 동상을 세우고 라디오와 텔레비전 보급을 통해 상징 조작에 나섰다. 쿠베르탱은 올림픽 폐막 뒤 <르 주르날>에 "많은 사람들이 정치선전에 올림픽의 이념이 이용됐다고 하는데, 베를린의 성공으로 올림픽의 이상은 더 숭고해졌다"라고 평했다. 히틀러는 노벨평화상 후보로 쿠베르탱을 추천했다.
올림픽은 2차 세계대전으로 두 차례 중단한 뒤 1948년 런던올림픽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전쟁 뒤 재편된 국제질서는 올림픽을 냉전의 인질로 붙들었다. 미-소를 정점으로 한 동-서 간 대결구도에다가, '검은 구월단' 사건과 남아공 추방처럼 국제정치와 이념 대결, 인종차별과 종교적 편견, 테러와 보이콧으로 얼룩졌다.
냉전 시기 IOC를 이끌어온 브런디지 위원장은 올림픽의 순수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그의 순수성은 멕시코 올림픽 남자육상 200m 시상식에서 인종차별에 항의해 '침묵의 제스처'를 펼친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 이들과 연대한 피터 노먼의 행동을 아마추어 규정 위반으로 보고 징계할 때만 빛났다.
IOC는 약자에 강하고 강자에 약했다. 얼마 전에는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가 "미국은 평창올림픽 참가를 결정하지 않았다"라며 올림픽운동과 IOC를 뒤흔드는 정치적 발언을 쏟아냈지만 비판 성명 한 줄 내지 못했다.
이념의 대리전은 1980년 모스크바와 1984년 LA 올림픽 때 극에 달했다. 1979년 구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하자 지미 카터는 모스크바 보이콧을 제안해 반쪽 올림픽을 만들었다. 영국의 대처는 5000만 파운드를 기부하겠다며 개최지 변경을 압박했다. 64개 국가가 불참했다. 4년 뒤 LA 올림픽 때는 소련이 14개 국가와 '동맹휴업'했다. 동-서 패권국이 힘없는 동맹을 꾀어내 '동굴'에 가두고 마을잔치에 얼씬도 못 하게 한 셈이다.
냉전 이후 올림픽은 미디어를 틀어쥔 자본이 지배하고 있다. 하지만 자본의 노리개가 된 올림픽을 성찰하고 가치를 회복하려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IOC는 혁신안 '어젠다 2020'을 내놨으나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는 전혀 힘을 쓰지 못했다. 브라질 정부는 올림픽 성공 명분으로 리우 시 인구의 23%가 사는 파벨라를 철거한 뒤 7만7000여 명을 강제 이주시켰으며, 치안유지를 이유로 2015년 한 해에만 645명을 숨지게 했다. 희생자는 주로 빈민 출신의 흑인 남성들이었다.
올림픽 '설국열차'는 멈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