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먹는 게 저한테는 별로 큰 의미 없는 것 같아요."
참여사회
"나이 먹는 게 저한테는 별로 큰 의미 없는 것 같아요. 사는 동안 내가 가고자 하는 그런 방향으로 살면 족하지. 그래서 저는 칠십 되면서 머리 염색을 안 하기로 했어요. 칠십 살이면 머리가 하얘지는 게 당연한 거잖아요."그렇게 말하면서 그는 겸연쩍은 듯 머리를 매만졌다. 희끗희끗한 머리카락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워 보였다. 그 자연스러움을 얻기까지 그는 어떤 삶을 걸어왔을까.
두 번의 터닝포인트 조숙했던 사춘기 시절, 우연히 배운 자동차정비기술이 평생직업이 되었다고 했다. 하지만 자동차정비라는 직업 자체가 워낙 험했고 관리자가 되고부터는 사람들을 만나야 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스트레스도 늘어났다. 그러다가 인생의 큰 시련이 찾아왔다. "40대 전후로 한 번의 큰 시련이 있었어요. 사업하면서 힘든 과정을 겪다 보니까 정신적으로도 많이 부담이 됐고 그러다 보니 눈이 고장 난 거죠. 눈이 잘 안 보이니까 모든 게 영향을 받게 돼요. 그렇게 2년 가까이 시련을 겪으면서 회사에서도 조금씩 내 시간을 가지려고 노력하게 됐고요.
그러던 중 산업연수원에서 2박 3일간 기업체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받았는데 그중에 심리학 강의가 있었어요. 시련을 겪는 와중에 강의를 들으니까 더 강하게 와 닿았던 거 같아요. 그때 나를 엿볼 수 있었죠. 내가 얼마나 생을 무지하게 살고 있는지…. 처음으로 부끄러워진 거죠. 삶의 정신적 전환기, '터닝포인트'라고 해야 할까요."백내장 수술을 받고 시련이 지나가자 감동도 점차 잊히고 희미해졌다. 게다가 당시 막내의 나이가 겨우 8살, 아직 가장으로서 해야 할 일도 많았다. 살다 보니까 삶은 다시 척박해졌고, 욕심이 생기고, 돈도 더 벌고 싶어졌다. 그게 가장으로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나은 길이라고 믿었다. 그렇게 20년이 흘렀을 때였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죠. 퇴근길에 운전하면서 라디오 주파수를 돌리는데 너무 아름다운 목소리가 들리는 거예요. 정목스님의 <마음으로 듣는 음악>(불교방송 라디오)이었죠. '아, 이런 목소리도 있구나' 싶었어요. 책도 읽어주고... 정목스님 만나는 게 너무 즐겁고 좋은 거예요. 오후 7시만 되면 그게 기다려지더라고요. 그러면서 내가 40대에 느꼈던 감동들이 되살아나는 걸 느꼈어요. 그래서 '아, 내 삶이 이렇게 끝나서는 안 되겠다', 그런 생각이 들었죠." 하고 싶은 일을 다 해보고 살리라 마음먹은 그는 곧장 퇴사를 결심했다. 막내도 다 큰 성인이 되었기에 걱정은 덜었다.
"회사를 그만두고도 한 오전 5시가 되면 눈이 떠지더라고요. 아침에 신문을 두 시간 읽으면 그날의 중요한 것은 다 보거든요. 신문 읽고, 산에도 다니고 그러다가 서울도서관에도 가보게 됐어요. 정말 잘해놨더라고요. 지하에 시민청이 있잖아요. 강의를 많이 하더라고요. 전부 무료니까 청강도 하고 자연스럽게 다니게 됐죠. 항상 지적 갈증을 느끼며 살아왔으니까요."그것은 40여 년 만에 처음 맛보는 즐거움이었다. 그동안 쌓인 갈증이 한 번에 해소되는 것 같았다. 그는 뒤이어 서울시청과 중랑구 평생학습관에서 글쓰기 강좌와 지역평생교육활동가 양성과정을 수료했고 비슷한 시기, 운명같이 '그 모임'을 만났다.
"참 좋은 세상이다 싶었죠. 그런 거에 흠뻑 빠져 지내던 어느 날 <참여사회>에서 봤나... 아카데미느티나무에서 하는 '새로운 노년을 위한 배움의 공동체' 모집 공고를 봤어요. 한번 가봐야겠구나, 그렇게 해서 공동체에 참여하게 됐어요."나의 인생사를 돌아보다 2015~2016년 봄, 아카데미 느티나무가 운영한 <푸른시니어학교> 1~3기 과정이 2016년 가을부터는 참여자들의 자발적 서클로 4~6기가 이어졌다. 노년의 부모와 어떻게 관계 맺으며 살아갈 것인가 고민하는 자녀, 노년의 삶과 죽음을 공부하는 연구자, 새로운 노인의 삶을 만드는 데 관심이 많은 사회복지사, 상담치유활동가 그리고 다양한 성별과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인 이 모임에서 그는 원년멤버이자 가장 든든한 버팀목으로 함께해왔다. 그렇게 형성된 작은 관계망이 지난해 10월, 또 하나의 씨앗을 싹틔웠다. 바로 이름도 거창한 '인생사 전시'.
"정애자 선생님이 마침 이사를 하신다고 해서 댁에 가서 짐 정리를 함께 했어요. 짐이 너무 많은데 가져갈 수도 버릴 수도 없고 이런 얘기를 주고받다가 주은경 원장님이 전시를 한번 해보자고 제안을 해주셨죠. 정애자 선생님의 인생사뿐 아니라 각자의 삶도 한번 정리를 해보면 좋겠다, 그렇게 인생사 전시를 하게 됐어요."그는 글쓰기 강좌에서 배운 것을 토대로 직접 여러 편의 글과 사진으로 인생사를 정리했다. 한 번에 정리하기 어려운 것들은 직접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조금씩 글을 쓰고 콘텐츠를 쌓았다.
"부끄럽게도 저에게는 어떤 전시회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가 거의 없었어요. 전시는 전문가나 유명한 사람들이나 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무모할 정도로 힘들고 어렵게 준비하는 과정을 보면서 저도 새롭게 보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제 삶의 기록을 찾아보면서 알게 된 거죠. 인생사 전시라는 게 아프고 슬픈 자기 고백이고, 하나의 자화상이고 자서전이구나. 언감생심 배워가는 마음으로 작품이라고 할 것도 없는 내 삶의 기록을 전시하는 것에 용기를 내게 된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