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만의 식수원 낙동강을 따라 거대한 구미공단이 들어서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물론 지금의 대구 수돗물이 청정 계곡수의 물과 같이 근본적으로 안전한 물은 결코 아닐 것이다. 그러나 더 이상 새로운 상수원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지금의 식수원을 안전하게 지켜가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다.
이를 위해 1991년 페놀 사태 이후 우리사회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적지 않은 노력을 해왔다. 국회 환경노동위 이상돈 의원의 증언에 따르면 "김영삼 정부 당시 26조 원이나 되는 막대한 예산을 들여 하수처리장과 하수관거사업에 집중투자했고, 이는 당시로써는 성과가 보이지 않는 일에 집중적으로 투자한 과감한 정책이 아닐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후 이어진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의 노력으로 과거와는 획기적으로 다른 수돗물 안전성이 확보된 측면이 분명 있다.
천문학적인 예산과 노력을 들인 이유는 박정희 개발독재로 인한 산업화로 낙동강을 포함한 우리 식수원이 심각히 오염되었고, 그 결과 페놀 사태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모든 노력을 일거에 망쳐버린 것이 4대강사업으로 정리될 수 있는 이명박근혜 정부의 하천정책이다.그 결과 자연정화시스템이 무너진 낙동강에서 매년 맥동성 조류가 창궐한다. 자연정화 기능을 상실한 정체된 강은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기능마저 상실했다. 이로 인해 수돗물 안전성은 지난 10년 전보다 더욱 악화된 것이다.
대구 취수원 이전, 결코 바람직한 대안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구 취수원 이전은 결코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없다. 구미시민의 집단 반발과 아울러 대구 취수원 이전시 구미산단을 비롯한 각종 산단과 대구지역의 하수관리가 소홀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낙동강 하류의 수질은 더욱 악화될 것이고 부산경남과의 남남갈등마저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 결국은 낙동강이란 거대한 식수원을 포기해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사회는 식수원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이미 천문학적인 예산(김영삼 정부의 26조 원, 이명박 정부의 22조 원을 포함해서)을 들였다. 순기능과 역기능이 있었지만 그 많은 예산을 들인 이유는 우리 식수원을 살리겠다는 공통이 이유였다(물론 이명박 정부는 예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