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제도 개혁' 3당 대표 공동 기자회견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당대표 및 원내대표들이 25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선거제도 개혁 3당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정미 정의당 대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 민주평화당 장병완 원내대표, 정의당 추혜선 원내수석부대표.
연합뉴스
이미 시민사회와 정치권 내에서도 이 방안에 대한 공감대는 상당 부분 존재한다. 전국 57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정치개혁공동행동은 2017년 8월에 '국회의원 숫자를 360명으로 늘리되, 국회예산은 동결한다'는 방안에 합의했다. 그리고 최근 정치개혁공동행동은 같은 내용으로 정의당·민주평화당과 공동협약을 체결했고, 바른미래당의 경우에도 숫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국회의원 증원'에 동의했다.
현재의 국회예산을 동결한 상태에서 국회의원 증원을 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국회사무처는 현재 9명의 국회보좌진을 7명 수준으로 줄이면 현재의 국회예산으로도 국회의원 숫자를 360명으로 늘릴 수 있다는 것을 검토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4급보좌관 1명, 8급비서 1명을 줄이는 방안이다.
이미 시민단체와 언론들이 국회에서 사용하는 각종 예산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개를 주문했고, 감시의 폭을 넓히고 있다. 그동안 논란이 돼온 국회 특수활동비만 해도 1년에 65억 원을 쓰던 것을 내년부터 10억 원 수준으로 대폭 줄였다. 그런 식으로 해나가면 된다.
정당들도 의견을 내고 있다. 정의당은 '반값연봉'을 제안하기도 했다. 녹색당은 입법활동비와 특별활동비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현재 입법활동비, 특별활동비를 합치면 1억5000만 원에 달하는 국회의원 연봉수준도 지금처럼 국회의원들이 정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기구를 통해서 정하는 것이 옳다. 2016년 국회의장 자문기구로 활동한 '국회의원특권내려놓기 추진위원회' 보고서에서도 '입법활동비'와 '특별활동비' 항목을 삭제하고, 보수의 구체적인 수준과 세부항목의 결정은 독립적인 '국회의원 보수산정위원회(가칭)'에 위임해 독자적으로 결정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문제는 '사이비 주장'을 펴는 기득권세력이다. 마치 의원 숫자를 줄이거나 현상유지하는 것이 개혁인 것처럼 주장하는 이들이야말로 개혁에 저항하는 반(反)개혁세력이다. 이들은 사실상 소모적인 정쟁만 반복하면서 문제해결능력이 없는 국회, 특권국회를 유지하려는 기득권세력이다. 이런 세력에 현혹돼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