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대는 4.3학살 주범, 이승만 동상 철거하라"

'양심과인권-나무', 제주4.3항쟁 71주년 앞두고 성명 통해 촉구

등록 2019.04.02 17:23수정 2019.04.02 17:23
1
원고료로 응원
 지난 해 6월 7일 오전 10시, 대전지역 5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이승만 동상 철거 공동행동'(아래 공동행동) 소속 회원들이 배재대학교 이승만 동상 앞에서 대학 측에 동상 자진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지난 해 6월 7일 오전 10시, 대전지역 5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이승만 동상 철거 공동행동'(아래 공동행동) 소속 회원들이 배재대학교 이승만 동상 앞에서 대학 측에 동상 자진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심규상
 
제주 4.3민중항쟁 71주년을 앞두고 대전지역 인권단체인 '양심과인권-나무'가 배재대학교 교정에 서 있는 이승만 전 대통령 동상 철거를 촉구하고 나섰다.

양심과인권-나무는 2일 성명을 발표하고 "학살범죄에 대해서는 시효가 없으며 어떻게든 심판대에 세우는 것이 국제적인 정의"라며 "배재대는 제주도 4.3학살의 주범인 이승만 동상을 당장 철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4.19혁명을 통해 독재자로 심판을 받았고, 한국전쟁 전후의 민간인학살에 대한 책임이 명백한 이승만의 동상이 지금 대전에 있는 배재대학교 교정에 서 있다"며 "학살자에 대한 미화는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 배재대는 온 세계의 지탄을 받는 학살범죄자의 동상을 신속하게 철거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이승만이 제주도민을 잔혹하게 학살하는데 주저하지 않은 이후 한반도에서 학살은 정치 수단으로 변해 좌우를 가리지 않고 보복수단으로 활용, 반인륜적인 범죄를 창궐케 했다"며 "한국전쟁전후 자행된 100만 명의 민간인 학살의 배후 정점에는 당시 대통령이던 이승만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집단학살범죄는 국제적으로 시효가 없다. 지금까지도 나치에 부역해서 히틀러의 학살에 부역하던 자들을 잡아 국제심판대에 세우는 작업이 계속되고 있는 것을 보면, 집단학살범죄를 용납하지 않는 것이 인류보편의 양심이고 정의"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재대는 궁색한 변명으로 일관하면서 지금까지도 이승만 동상을 교정에 놔두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학생들에게 바른 역사를 가르치고, 정의와 평화, 인권의 가치를 교육해야 할 대학이 '학살범죄'와 '독재'를 상징하는 이승만의 동상을 존치시키고 있는 현실에 양식 있는 대전시민이라면 모두 다 분개할 수밖에 없다"면서 "배재대는 이승만의 동상을 즉각 철거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배재대 이승만 동상은 두 번의 철거 이후 다시 세워졌다. 1987년 2월 이승만이 '배재학당을 졸업했다'는 이유로 3회 졸업생들이 주축이 되어 세웠으나 그 해 일어난 6월 항쟁 과정에서 학생들이 동상을 철거했다.


수년 뒤 학교 측이 동상을 다시 세웠고, 학생들이 계란과 페인트를 끼얹는 등의 철거시위를 벌이자 1997년 학교 측이 자진 철거했다. 학교 측은 2008년 교수와 학생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세 번째로 이승만 동상을 세워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지역 시민사회와 배재대 학생·졸업생 등은 지난 2018년 4.19혁명 58주년을 맞아 배재대 교내 이승만 동상 철거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동상 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승만 #이승만동상 #배재대 #제주4.3항쟁 #양심과인권나무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2. 2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3. 3 수렁에 빠진 삼성전자 구하기... 의외로 쉽고 간단한 방법 수렁에 빠진 삼성전자 구하기... 의외로 쉽고 간단한 방법
  4. 4 남자를 좋아해서, '아빠'는 한국을 떠났다 남자를 좋아해서, '아빠'는 한국을 떠났다
  5. 5 관광객 늘리기 위해 이렇게까지? 제주 사람들이 달라졌다 관광객 늘리기 위해 이렇게까지? 제주 사람들이 달라졌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