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규동 사진가의 <고시텔> 전시 작품 중 하나.
심규동
교육 인프라의 서울 집중과 대학의 서열화 문제는 한두 해 된 문제가 아니다. 이미 상위권 대학의 80%가 서울에 집중되어 있다. 질 좋은 일자리는 서울에 몰려있고 대부분이 '인 서울' 대학 출신들이 차지하기 마련이다. 지난 수년간 유수한 지방 인재들은 끊임없이 서울로 '수출'됐다. 그런데 새삼 지금 와서 '지방대가 무너진다'는 해묵은 명제를 다시 꺼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방대가 말 그대로 '소멸'의 위기에 처해있기 때문이다.
지방대 난립의 부메랑... 지방은 생존 걱정, 서울은 건물 잔치
1996년 김영삼 정권은 '대학설립준칙주의'를 도입했다. 대학 설립을 위한 최소한의 허가요건만 갖추면 비수도권 지역에 대학 설립을 인가해주는 제도다. 설립준칙주의 도입 이후 지방에만 60여 개에 달하는 대학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대학 안 가면 굶어 죽는다'는 왜곡된 교육열과 소속 지역구에 대학을 유치하려는 정치인의 욕망 등이 만난 결과였다. 이에 질세라 서울 주요 사립대들도 정원 증가 등 몸집 불리기에 나서면서 전체 대학 정원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그런데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하며 늘어난 대학 정원 수는 독이 되어 돌아왔다. 학령인구가 해가 다르게 줄어들면서 등록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 대학들이 위기감에 휩싸였다. 심지어 일부 대학은 충원율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까지 내몰렸다.
공급과잉에 대한 조정 과정이 지역 격차와 맞물리면서 지방대학과 인 서울 대학 간 격차는 급격하게 벌어지고 있다. 일부 부실 대학만의 얘기가 아니다. 실제 교육 수준과 상관없이 지방대학은 지방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경쟁력 약화와 수입 감소 등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지방대가 생존을 걱정하는 와중에도 '학벌 자본'을 구축한 서울 주요 대학은 매년 수백억 원을 건물에 쏟아붓고 있다(관련 기사 :
뭣이 중헌디... 강의 줄이고 건물 늘리는 고려대). 한 마디로 지역을 기반으로 한 '초격차'가 대학 사회에 현실화하는것이다.
기자는 이번 기획을 위해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3개년 공공데이터(2016~2018년)와 통계청 등에 공시된 각종 통계 지표를 분석했다. 1편에서는 학령인구 급감에 따른 지방 대학의 생존 위기를 다룬다.
'나홀로' 대학생 급증하는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