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별오름2019 제주들불축제 한달 후 새별오름의 모습
(사)제주참여환경연대
멀리서 보면 아름답지만 가까이 보면 비극이 시작되는 곳이 새별오름이다.
1997년에 시작한 들불축제가 2000년부터 새별오름에서 열렸다. 제주사람들의 삶의 방식은 30여년 사이에 엄청난 변화를 겪는다. 1970~8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농가에서는 소를 기르며 밭을 경작하고 오름에 말과 소를 방목하며 살았다.
당시 방목을 맡았던 말테우리(말몰이꾼을 뜻하는 제주 방언)와 쉐테우리(소몰이꾼을 뜻하는 제주 방언)는 중산간지대 양질의 목초지를 찾아 다니며 풀을 먹였다. 이때 중산간지대에 묵은 풀을 없애고 해충을 구제하기 위해 목초지에 불을 놓아 질 좋은 새풀이 돋아나도록 불놓기를 했는데 이를 제주어로 '방애(불)놓다' 라고 했다.
이러한 선인들의 풍습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디자인한 것이 지금의 들불축제이다. 벌써 22년째 축제가 이어지는 동안 축제광장과 주차장을 만들기 위하여 주변초지를 매입하고 관광객을 위한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 등 프로그램을 다양화했다. 축제가 인기를 끌면서 사람들의 호기심을 채울 또 다른 프로그램이 계속 등장한다. 1회부터 22회까지 들불축제 방문객은 약 500만 명쯤으로 추산하고 있다.
2019년 들불축제가 끝난 새별 오름의 풍경
지난 4월 9일 (사)제주참여환경연대는 새별오름의 훼손 실태를 조사했다. 앞으로 한 달에 1회, 약 1년간 새별오름 훼손 실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 볼 예정이다. 들불축제가 끝난 지 한 달이 지나고 있어 현장정리가 깔끔하게 되어 있으리라는 생각과 달리 출입통제, 현장복구상태, 생태복원 등 하나도 제대로 된 것이 없었다.
폭죽을 쏘아 올렸던 자리, 사람이 머물렀던 자리, 불을 질렀던 자리, 차가 다녔던 자리에 어김없이 큰 상처를 남겼다. 새별오름에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을, 아니 매년 새로 각인될 문신이 있다. 마치 말이나 소등에 거대한 불쏘시개로 지져버린 듯, 커다란 생채기가 있는 것이다.
이런 곳은 비가 오면 물과 흙의 압력으로 토사가 쓸려 내려가 골이 생기기도 한다. 불에 태울 나무 등을 나르며 만들어진 길은 관광객들이 지름길인 줄 알고 올라다녀 이미 중앙으로 길이 나있다. 타다 남은 것들, 쓰레기들, 형체를 알 수 없이 녹아버린 것들, 화약 잔재물, 아직도 새별오름에 박혀 있는 철근, 쓰러져 방치된 소화전, 폭약이 터져 파인 곳, 훼손된 정상부, 어지러이 날아간 탐방로매트, 속살이 드러난 탐방로 등등 일일이 나열하기도 힘들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