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에 인용된 NSC 문건.
국무부
한국전쟁이 휴전으로 끝난다 해도 중공이 무력 침공을 포기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을 견제하려면 미군을 계속 둬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자 이런 말을 한것으로 보인다. 휴전 후에도 미군을 계속 주둔시킬 필요성을 언급하는 문서의 첫머리가 중국 위협론으로 시작했다는 점은, 미국의 적을 견제하는 게 주한미군 주둔의 본질적 동기임을 잘 보여준다.
한국전쟁은 북한 입장에서는 북한과 미국의 대결이었지만, 중국 입장에서는 중국과 미국의 대결이었다. 미국 입장에서는 미국과 북한의 대결인 측면도 컸지만, 미국과 중국의 대결이라는 측면이 좀더 컸다.
미국은 3년간 중국과 싸워본 뒤 '휴전 후에도 중국의 무력침공 가능성이 계속 남는다'라는 판단을 갖게 됐다. 이에 입각해 NSC 154/1은 '잠정적 행동 방침(interim courses of action)'의 일환으로 제12항에서 이렇게 제안했다.
"가능한 한 제한적인 미군 재배치를 목적으로, 한국에서 참전 중인 여타 국제연합 회원국들로부터 추가 병력을 확보하기 위한 활력적인 캠페인을 계속 전개한다."
미국뿐 아니라 참전국들도 한국에 군대를 두도록 캠페인을 벌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의 안보를 지키려면 미국뿐 아니라 동맹국들의 군대도 한국에 주둔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만약 중국 견제론이 제기되지 않았다면, 미국은 한국전쟁 뒤에 주한미군을 철수시켰을 수 있다. 그러나 휴전 직전에 중국 견제론이 제기되고 이로 인해 미군 철수에 제동이 걸린 탓에, 그해 10월부터 철군이냐 주둔이냐를 놓고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된 것이다.
그런데 중국 견제론은 철군이냐 주둔이냐의 논쟁을 촉발시키기는 했어도, 이 논쟁을 종결시키지는 못했다. 잔류론에 힘을 실어준 또 다른 논리가 있었다. 존 헐 같은 철수론자들의 입을 막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논리가 등장해 중국 견제론과 결합한 끝에 잔류론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다.
잔류론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
그 논리는 주한미군 철수가 세계패권국가 미국의 위상에 흠집을 낼 수 있다는 논리였다. 북·중 연합군을 확실히 제압하지 못한 상태에서 미군이 떠나게 되면 한국에서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미국의 위신이 추락할 것이라는 논리였다. '주한미군 잔류=미국의 위상 유지'로 요약될 만한 것이었다.
2005년에 <국제정치연구> 제8집 제1호에 실린 이철순 부산대 교수의 논문 '한국전쟁 휴전 이후 주한미군 잔류정책: 미국의 국가이익 규정을 중심으로'에서 그 논리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국무부에서 작성된 한국 관계 문서들을 분석한 이 논문은 "국무부 동북아시아과 과장인 맥클러킨은 1955년 2월 16일 로버트슨 극동담당 차관보에게 보내는 전문에서 1955년 1월 16일 제출된 (존) 헐의 주한미군 완전 철수론에 대하여 먼저 정치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 반대하였다"고 말한 뒤 맥클러킨의 보고서를 소개한다.
"나는 만약 이러한 결손이나 철수가 발생한다면, 우리는 한국에서 심각한 정치적 곤란에 봉착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보다 중요한 점은 한국에서 군사력의 이러한 약화가 우리가 한국에서 유지해온 힘의 지위를 손상시킬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힘의 지위는 현재 극동의 정세에서 군사적 자산일 뿐 아니라 중요한 정치적 자산이다."
한국에서 군대를 빼내게 되면 미국의 국제적 지위가 약해질 것이라는 말이었다. 패권국가의 위상을 유지하려면 군대를 그냥 둬야 한다는 것이었다. 맥클러킨의 보고를 받은 로버트슨 차관보도 존 덜레스 국무장관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똑같은 논리를 전개했다. 위 논문에 인용된 보고서에 따르면, 로버트슨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극동에서 유지해온 힘의 지위는 현재의 극동의 긴장과 불확실성이라는 견지에서 볼 때 군사적 자산일 뿐 아니라 중요한 정치적 자산이다. 나는 군사적 요인뿐 아니라 정치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힘의 지위가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국무부 차관보 역시 '주한미군을 두는 것 자체가 정치적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덜레스 국무장관도 찰스 윌슨 국방장관을 설득하기 위해 동일한 논리를 구사했다.
위 논문에 따르면, 덜레스 국무장관은 "주한미군을 철수시킬 경우 정치적으로 중요한 점은 한국전쟁에 참여한 국가들로 하여금 상징적인 병력조차도 주둔하도록 설득시킬 수 없다는 점, 미국의 지원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를 약화시킴으로써 미국이 원하지 않는 적대행위에 말려들어갈 일방 행동의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을 들어 윌슨 국방장관을 설득했다.
중국 견제를 위해서는 한국에 병력을 주둔시켜야 하는데, 미군이 철수해버리면 동맹국들한테 한국에 남아 있으라고 요구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승만 정권이 독자적으로 대북 행동에 나설 수도 있어 동북아 정세가 미국의 의도에서 벗어난 채로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종합하면, 미군이 한국을 떠나면 동맹국들 앞에서 영이 서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논쟁에서 보다 더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중국 견제론이라는 구체적인 명분보다는 '미국 위상 유지'라는 추상적인 명분이었다. 이는 '공산주의 강대국인 소련·중국과 맞닿는 한반도에 미군을 배치하는 것 자체가 미국의 패권을 과시하는 데 유리하다'는 논리를 듣고 미국인들이 고무됐음을 의미한다. 미국의 힘을 보여주는 데에 한반도만한 곳이 없었던 것이다.
중국 견제론과 미국 위상론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미국 행정부 내에서 철수론이 약해지고 잔류론이 살아남게 됐다. 잔류론은 1955년 6월 9일 NSC 회의에서 미국의 정책으로 공식 채택됐다.
이처럼 미국이 한국에 군대를 주둔시킨 것은 트럼프의 말처럼 한국을 지켜주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한국전쟁 때 군대를 파견한 것도, 한국전쟁 뒤에 군대를 빼가지 않은 것도 적대진영을 견제하고 미국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거기에 더해 최강국가의 힘을 보여줘야 한다는 동기도 강하게 작용했다. 미국이 주한미군을 운용하는 동기가 그 뒤 약간 변형되기는 했지만, 중국 견제론과 미국 위상 유지론은 그 뒤에도 계속해서 핵심 동기를 이뤘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주한미군을 운용하든, 미국의 위신을 세우기 위해 주한미군을 운용하든, 그 비용은 미국 국고에서 지출되는 게 정당하다. 특히 미국의 위신을 세우는 일에는 미국의 돈이 들어가야 한다. 한국 국민들의 세금으로 미국의 위신을 세우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트럼프는 한국이 불공정하다고 말하지만, 정말로 불공정한 것은 미국이다. 남의 돈으로 자기 위신을 세우려는 발상 자체가 불공정한 일 아닌가.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2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