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경상도엔 빨갱이가 많다"... 대선 뒤집어 놓은 '구태'

[대한민국 대통령 이야기 (9)] 제4대 윤보선 대통령 ①

등록 2020.02.03 11:07수정 2020.02.03 11:07
5
원고료로 응원
 제4대 윤보선 대통령
제4대 윤보선 대통령국가기록원
 
제5대 대통령 선거

1963년 10월 15일. 이날은 제5대 대통령 선거일이었다. 그때 나는 고교 2학년생으로 홀로 서울에 남아 신문배달을 했다. 매일 새벽 3시 50분쯤 깨어나 옷을 갈아입고, 4시 통금 해제 사이렌을 기다렸다가 그 소리가 들리면 용수철처럼 밖으로 뛰어나갔다.

그 길로 광화문에 있는 <동아일보> 세종로보급소로 뛰어갔다. 거기 도착하면 새벽 4시 20분 전후였다. 보급소 총무는 막 본사 수송차가 내려놓은 조간 신문뭉치에서 배달할 신문을 재빨리 세어줬다.

나는 그 신문을 옆구리에 끼고 담당 구역인 사직동으로 달려갔다. 250여 독자 집에 배달을 마치고 집에 돌아가면 오전 6시 30분 전후였다. 곧장 세수를 하고 아침식사 후 책가방을 챙겨 수송동에 있었던 학교로 갔다.

그날 학교 수업을 마치면 책가방을 들고 곧장 보급소로 갔다. 오후 4시 무렵이면 역시 본사 수송차가 윤전기에 막 쏟아진, 잉크냄새가 폴폴 나는 석간 신문을 보급소 앞에다 떨어뜨리고 갔다(당시 <동아일보>는 조간과 석간을 모두 발행했다).

그때 <동아일보> 세종로보급소는 본사와 가까운 종로구 청진동의 한 한옥을 쓰고 있었다. 지금 광화문 SK 서린빌딩 앞 르메이에르 오피스텔 자리였다. 그런데 중요사건이 있는 날이거나, 대통령 선거전으로 대도시 유세가 있는 날은 석간 신문발행 시각이 평소보다 늦었다.

그런 날은 보급소 총무의 인솔로 배달원들은 <동아일보> 본사로 갔다. 거기 윤전기가 돌아가는 창구에서 막 쏟아지는 신문뭉치를 어깨에 지고 보급소로 날랐다. 그런 뒤 자기몫을 챙겨 배달 구역으로 달음질쳤다. 


당시에는 소셜미디어 같은 뉴스매체가 없었다. 그래서 시민들은 하루에 두 번 발간하는 조·석간 신문을 통해 세상 돌아가는 일을 파악했다. 신문 구독률과 인기는 최고였다. 특히 <동아일보>의 구독률과 인기는 대단했다.

신문을 애독했던 독자들은 배달시각이면 아예 대문 앞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그래서 다른 신문보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배달하고자 경쟁이 치열했다. 배달원들은 신문만 옆구리에 끼면 시내버스처럼 독자 집을 일일이 찾아 뛰어다니면서 신문을 대문 틈으로 떨어뜨렸다.
  
 동아일보 1963년 10월 13일자 호외
동아일보 1963년 10월 13일자 호외동아일보 화면 갈무리
 
대도시 유세 날, 호외를 발행하다


제5대 대통령 선거 초반에는 야당후보들이 난립했다. 하지만 종반으로 가자 사실상 민주공화당의 박정희 후보와 민정당의 윤보선 후보간 대결구도로 좁혀졌다. '군정'이냐 '민정'이냐 쟁점이었다. 그때 <동아일보>의 논조는 대체로 민정당 윤보선 후보 지지였다. 두 후보의 대도시 유세가 있는 날은 신문 발행이 늦어지거나, 아니면 호외를 발행했다.

특히 주말은 거의 호외가 나왔다. 그때마다 박‧윤 후보는 거의 대부분 대도시 유세를 했었다. 그 유세가 끝나면 본사에서는 유세장에서 불러준 현장 기자들의 원고를 전화로 받아 호외를 제작한 뒤 보급소로 보냈다. 그러면 우리 배달원들은 대기했다가 그걸 가지고 구역의 독자 집으로 달려가서 "호외요"라고 소리치면서 대문 문틈으로 신문을 집어넣었다.

그런 날은 하루에 세 번씩 구역을 도는 셈이 됐는데, 늦은 밤이 돼서야 일과가 끝났다. 그렇다고 배달 수당을 별도로 더 주는 것도 아니었다. 보급소 측에서는 크게 선심을 써서 지금 광화문 교보문고 앞 염상섭 좌상 자리에 있는 '복취루'라는 중국인 호떡집에서 계란빵 두 개를 나눠주는 게 전부였다. 

그 시절 우리 배달원은 그것도 감지덕지했다. 왜냐하면 그 무렵 <동아일보> 배달원 자리는 얻기가 쉽지 않았다. 그만큼 살림이 어려울 때였다.

선거 초반전 때에는 북한 밀사 '황태성 사건'이 쟁점이 됐다. 하지만 선거 종반, 민정당 윤보선 후보는 여순사건 자료를 공개하면서 '박정희 후보는 1949년 2월 13일 군법회의에서 무기징역을 언도받았다'는 내용을 폭로했다. 그러자 <동아일보>는 이를 호외로 찍어 수백만 장을 만들어 뿌렸다.

그때 민정당 측의 한 연사(김사만)는 "경상도에는 빨갱이가 많다"라는 말까지 뱉어 영남사람들을 발칵 뒤집어놨다. 이래저래 제5대 대통령 선거는 정책 대결이 아닌 색깔론으로 가득 채워졌고, 온통 진흙탕 싸움이었다.

당시 윤보선 후보의 선거 전략은 짜증이 났다. 유권자에게 미래지향적인 공약으로 정책 대결을 펼치지 않았다. 선거운동 기간 내내 상대의 과거 약점을 후벼 파는 흑색 선거 전략을 구사했다. 이는 상대를 이길 수 있는 전략이 아니었다. 
   
 제5대 대통령선거 윤보선 후보 선거 플래카드
제5대 대통령선거 윤보선 후보 선거 플래카드국가기록원
   
 박정희 후보 선거 홍보 벽보
박정희 후보 선거 홍보 벽보국가기록원
    
윤보선, 15만여 표 차로 고배를 마시다

결국 윤보선 후보는 그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에게 15만여의 근소한 표 차이로 고배를 마셨다. 선거 후 전문가와 언론이 진단한 바, 윤 후보 측의 가장 큰 패인은 대통령 선거전을 정책 대결이 아닌, 사상논쟁으로 몰고 간 것으로 꼽았다.

박정희 후보는 '일하는 대통령' '잘 살아보자'고 호소하는 데 역점을 뒀다. 이에 견줘 윤보선 후보는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공약을 제시하기보다 상대방의 약점을 들췄다. 이런 구시대의 수법은 박정희 후보의 집권을 도와주는 결정타 역할을 했다.
 
 충남 아산의 윤보선 후보 생가 사랑채
충남 아산의 윤보선 후보 생가 사랑채박도
    
 구미 상모동 박정희 공부방
구미 상모동 박정희 공부방자료사진
 
몇 해 전, 나는 충남 당진의 필경사를 찾았다. 가는 길에 아산 지방에 있는 윤보선 생가를 들렀다. 그 무렵 구미 상모동 박정희 생가도 둘러봤다. 두 생가는 그야말로 천양지차였다. 박정희 상모동 집은 윤보선 집 행랑채보다 못했다. 다 쓰러져가는 초가집이었다. 그 시절 대통령 선거 때 농촌 유권자들은 수군거렸다.

"윤보선은 쌀나무에 쌀이 달린 줄 알 거다. 그런 사람이 농민의 심정을 어찌 알겠느냐"라고. 당시 선거 결과는 여촌야도(與村野都). 도시에서 야당 표가 많이 나왔고, 농촌에서는 여당 표가 더 많이 쏟아졌다.

또 지역적으로 보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등 중부 이북에서는 윤보선 후보 표가 많았는데, 경상도와 전리도에서는 박정희 후보가 월등히 더 앞섰다.
 
 윤보선 후보 부부가 제5대 대통령 선거에 투표하고 있다.
윤보선 후보 부부가 제5대 대통령 선거에 투표하고 있다.국가기록원
  
'정신적 대통령'

이로 보아 윤보선 후보의 색깔론과 상대방의 약점을 들추는 선거 전략은 패착이었음 알 수 있다. 후속 기사에서 다룰 예정이지만 윤보선과 박정희는 이생에서 악연이 있었다. 윤보선 대통령은 본인이 뜻하지 않게 5.16 쿠데타 성공과 박정희의 집권에 일등 공신역할을 단단히 했다.

동물의 세계에서 사자가 토끼를 잡을 때도 최선을 다한다는 데, 윤보선 후보는 상대 박정희 후보를 대단히 얕잡아보고 안일한 선거 전략을 짰다. 그리고 끝까지 완주한 군소 후보 어느 한 사람도 사퇴시키지 못했다.

5대 대선 당시 장리석은 19만 표, 오재영은 40만 표, 변영태는 21만 표를 얻었다. 그 가운데 어느 한 후보라도 협상으로 사퇴시켰더라면 선거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을까? 이는 정치력 부재라 아니할 수 없다. 아마 윤 후보 측은 '뒤늦은 후회'를 했을 법하다. 하지만 윤 후보의 그릇이나 지략은 그것밖에 되지 않았나 보다.

대통령 선거 후, 윤보선은 "투표에서 이기고 개표에서 졌다"라고 하면서 자신을 '정신적 대통령'이라고 칭했다. 그 말은 언론에 유행어처럼 많이 오르내렸다. 그 말과 함께 시중에는 '헌 버선'이라는 별명이 나돌았다.

윤보선은 5대 대선에서 취한 전략을 같은 해 11월 26일에 있었던 6대 총선에서도 그대로 사용했다. 색깔공세 말이다. 그 결과, 공화당 110석, 민정당 41석이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아들게 된다.

윤보선의 곁엔 앞을 내다보는 지략의 참모가 없었던 듯하다. 그가 유능한 참모는 멀리 하고, 낡은 옹고집 지당 참모들을 곁에 둔 결과였는지도 모르겠다. 이 모두가 세상의 풍상을 모르고 자랐던, 영국 에든버러대학에서 고고학까지 공부했지만 백성들의 바닥 마음을 읽지 못한 그의 한계였을 것이다.

그때 민정당의 윤보선 후보가 쿠데타와 군정의 부당성을 강조하면서 미래지향적인 선거 전략으로 정책 대결했다면 우리 사회의 민주화를 20~30년은 더 앞당겨지지 않았을까. 만약 그랬더라면 이후 젊고, 아까운, 숱한 학생들의 희생도 막아냈을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강준식 지음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 서중석 지음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 강준만 지음 <한국현대사 산책> 등을 참고하여 썼습니다.
#대통령 #윤보선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4. 4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5. 5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