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국가들의 코로나19 재정지원 정책 비교
원인성
긴급재난지원금 하위 70% 아니라 모든 국민에 지급해야
정부는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가구에 최대 100만 원의 생계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1인 가구 40만 원, 2인 가구 60만 원, 3인 가구 80만 원, 4인 가구 이상 100만 원 씩이 될 거라고 한다. 경제 관료들은 하위 50%에 지급하자고 했는데, 그나마 여당의 주장으로 70%까지 늘렸다고 한다.
이 재정지원책은 몇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일단 소비촉진과 경제 살리기 관점에서 보면 규모가 너무 작다. 재정 여력이 있는 만큼 획기적으로 늘려야 한다. 하위소득 70%라는 기준도 부적절하다. 공정하게 기준을 정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 70% 언저리에 있는 국민은 불만을 가질 수 있다.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삼는다고 하는데, 이는 2019년(급여소득자) 또는 2018년(사업소득자)의 소득이 기준이 된다. 올 들어 지금 이 시점에서 어려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 자영업자나 프리랜서가 재작년에 돈을 잘 벌었더라도 올해엔 엄청난 피해를 보고 있을 가능성이 크지만 이들에겐 별 도움이 안 된다.
그래서 전 국민에 지급한 뒤 고소득자는 내년에 소득세를 통해 환수하는 방안이 설득력을 얻는다. 고소득자는 소득이 늘어나면 소득세가 최대 46.2%가 된다. 전 국민에 골고루 지급해도 고소득자들은 절반 가까이를 반환하게 되는 것이다. 소득이 많을수록 지원금을 덜 받는 셈이므로 더 공평하다. 더욱이 올해의 소득수준이 기준이 되므로 코로나19에 따른 재정지원이라는 취지에도 부합한다. 너무나 상식적인 방안임에도 하위 70%라는 틀에 얽매여 분란을 자초하는 것은 답답한 경제 관료들과 수구언론들 때문이다. 대통령의 과감한 결단이 꼭 필요한 대목이다.
국가재정 건전해 과감한 재정투입 여력 충분
우리 정부가 재정투입에 소극적인 것은 고질적인 재정건전성 논란 탓이다. 기획재정부 등 경제 관료들은 국가부채비율 40%라는 목표치를 임의로 설정해두고 재정적자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 왔다. 물론 나라 빚이 많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필요한 때에는 부채를 늘려서라도 적극적인 재정투입을 하는 게 국가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경제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번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한국이 더욱 적극적으로 재정을 투입해서 경제를 활성화하라고 권고해왔다. 그러나 철벽같은 경제 관료들은 물론 보수야당과 수구언론들은 진보정부가 빚을 늘려 경제를 망친다는 포퓰리즘 프레임으로 국민들 여론을 왜곡하곤 했다.
하지만 한국의 GDP 대비 국가부채비율은 아주 양호하다. 최악인 일본과는 비교조차 힘들다. 미국은 물론이고, 독일처럼 안정적인 경제에 비해서도 우량하다. IMF가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계속 권고할 만하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세계경제가 수렁에 빠져들고 있는 지금, 우리 정부의 과감한 재정투입은 반드시 가야할 길이다. 또 충분한 여력도 지니고 있다. 관건은 보수-수구진영의 포퓰리즘 프레임에서 용감하게 벗어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