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수석 시절의 김거성 목사
김거성
매년 12월 9일은 '국제반부패의날' 이다. 그래서 이날을 맞아 전 국제투명성기구이사였고 한국투명성기구 회장을 지냈던 김거성 목사와 우리나라의 부패문제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지난 2019년 8월부터 1년 여 동안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을 지내기도 했다. 다음은 지난 1일부터 8일까지 김거성 전 수석과 인터뷰한 내용이다.
- 지난 1년 여 시민사회수석을 지내면서 가장 보람 있었던 일과 아쉬웠던 일은?
"가장 보람 있었던 일은 우리 사회의 민주화, 노동자의 권리를 위해 헌신 희생하신 분들에게 국민훈장을 드릴 수 있었던 점이다. 지난 6월 10일 6월항쟁, 33주년 기념식에서 정부는 민주화운동에 공로가 큰 이한열 열사 어머니 배은심 여사와 돌아가신 열한 분에게 국민훈장모란장을, 제임스 시노트 신부와 조지 오글 목사 두 분에게는 국민포장을 드렸다.
또 11월 13일에는 전태일 열사 50주기를 맞아 국민훈장무궁화장을 추서했다. 이는 국가와 국민들이 이분들에게 해야 할 최소한의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그분들을 기억하고 훈장을 드리는 것만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민주화운동유공자예우에관한법률도 제정되어야 하겠고, 무엇보다도 그분들의 유지를 이어받아 돈이나 권력이 아닌 사람과 생명이 먼저인 나라를 만들어 나가는 데 더욱 매진하겠다는 다짐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아쉬웠던 일은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해서다. 나는 우리나라가 민주시민교육을 통해서 지속가능하게 민주주의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역량을 더 키워 나가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제도와 프로그램을 정착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의제설정만 해놓고 청와대를 떠나게 되었다. 민주시민교육은 국민을 이른바 '계도'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서 서로의 의견을 표현하고 경청하면서 일종의 사회적 합의를 모아내가는 과정이다. 그런 과정들을 통해서 국민들의 민주주의의 역량을 더 강화하자는 것이 그 취지다.
꼭 학교교육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로, 또 국가의 여러 영역에서 이런 것들을 제대로 추진하기를 기대한다. 학교 민주시민교육에 대해서는 일정하게 요구와 강조를 해왔던 그런 목소리들이 있었지만, 사회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해서는 아직 과제들이 충분히 제시되지 못했다. 민주시민교육이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평가와 입시 등에서 뿐만 아니라 임용시험, 입사시험, 나아가 승진이나 관리자로서의 자격 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민주시민교육 내용의 이해와 실천이 충분히 반영되는 것이 절실한 과제들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한다."
-
지난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최초로 두 차례 국제투명성기구 이사로 선출되어 활동했다. 당시 국제투명성기구 이사로 활동하면서 느꼈던 점은?
"무엇보다도 부패란 어떤 특정한 국가에서만 이슈가 되는 것이 아니구나, 세계적으로 잘사는 나라든 살기 어려운 나라든 상관없이 부패문제로 씨름하고 있구나 하는 것을 크게 느꼈다. 또 하나, 그 활동을 통해서 부패에 대해서는 어떤 특정한 한두 가지 만병통치약이 없고 오히려 통전적으로 접근을 해야 하며, 아울러 공공부문과 기업부문, 그리고 시민사회 등 각 분야가 함께 역할하고 또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나는 인준위원회, 감사위원회, 윤리위원회, 청렴위원회 등에서 활동했는데, 국제투명성기구라는 반부패운동조직 조차도 NGO의 내부 거버넌스, 예를 들자면 행동강령 준수라든지 윤리문제에 대한 관리 등에서 철저하게 해 나가려고 하는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지난 12월 초 우리나라에서 제19차 국제반부패회의(IACC)가 열렸다. 이번 IACC 의의를 어떻게 평가하나?
"이번에 우리나라가 주최한 IACC는 원래 지난 6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연기되어 12월에, 그것도 온라인으로 개최하게 되었다. 11월 30일부터 12월 7일까지 온라인으로 7000여 명이 등록해서 전 세계에서 참여했다. 지난 2003년에도 제11차 반부패회의를 우리나라에서 개최했던 적이 있지만, 이번에는 한국사회의 반부패노력과 반부패의지 등을 국제사회에 더 널리 알리는 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동시에 국제사회의 반부패노력에 대해 국내에서 공유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
IACC를 특정 국가에서 개최를 할 경우에는 항공료나 체재비 외에도 원래는 50만 원에서 70만 원 되는 등록비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1200명에서 1500명 사이의 참가자들로 국한되었다. 그런데 이번 회의는 줌이나 유튜브 등을 활용해 온라인으로 개최되었고 회비도 받지 않았기 때문에 5배 정도 되는 인원이 참가했다. 그래서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IACC 실무를 담당하는 국제투명성기구에서도 대성공으로 평가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주관이 되어 이번 회의를 준비했는데, 내국인 234명을 포함 총 7480명이 등록했다. 전체회의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다 통역을 제공해서 이 내용들을 공유를 할 수 있었다. 그래서 국제사회의 반부패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투명사회협약> 등 한국의 반부패노력들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에 유엔공용 6개 언어로 전부 통역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실제로 국제사회에 한국의 반부패의지나 모범사례 등에 대해서 충분히 알릴 수 있었다.
더불어 회의 내용들은 사후에도 유튜브 등을 통해 다시보기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비대면회의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기술적인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했었고, 또 우리나라에서는, 사실 시차문제 때문에 우리가 희생을 감수한 것인데, 주로 저녁부터 새벽까지의 시간대에 회의가 열려 접근성에도 약간 문제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공직사회를 포함해 모든 영역에서 이러한 세계적인 반부패운동의 흐름, 최신의 관심, 이런 것들에 대해서 공유할 수 있었던 점은 무엇보다 중요한 성과였다."
"검찰 권력 선택적 사용은 광의의 부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