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및 병원 누적사망자들의 추적 감염경로에 대한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자료를 재구성함.
장지혜
2021년 1월 24일 기준으로 서울 구로구 요양병원/요양원과 관련하여 235명, 경기 고양시 요양병원 관련 126명, 충북 청주시 요양 시설 관련 110명, 광주 광산구 요양병원 관련 160명, 전북 순창군 요양병원 관련 119명 확진 등 전국적으로 요양원과 요양병원에서 확진자들이 지속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선 시설의 코호트 격리를 감행한 경우가 많았다. 시설을 통째로 봉쇄하여 감염병으로부터 선제적, 예방적 조처를 한다고 했지만, 그로 인한 시설 내 보건의료인의 업무 과중, 인적·물적 자원의 부족, 치료 장비 미흡 등의 문제점들도 동시에 발생했다.
오히려 코호트 격리로 인해 해당 시설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지난해 12월 말 부천 요양병원은 보건의료인도 코로나19에 감염되었지만, 추가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감염된 사람이 감염자를 돌보는 상황까지도 발생하였다.
사회복지 집단 거주시설 이용자의 경우 기저질환 등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 비슷한 취약성을 가진 사람들이 한 시설에 밀집되어 있어서 개인의 감염이 집단의 감염으로 쉽게 확산될 수 있다.
코로나19의 환자 수가 증가하고 지역사회 감염이 고령층이나 기저질환자가 함께 생활하는 요양병원, 요양원, 의료기관 등으로 확산하면서 사망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사망자는 집단감염이 발생한 의료기관이나 요양병원 등 시설에서 고령층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는 코로나19가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기후변화 등의 이유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또 다른 감염병이 발생할 것이라 예상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요양 시설이 필요한 상황인지에 대해 다시 검토가 필요하다.
구민과 구청장의 공약, 둘 중 뭣이 중한디?
지난 기사
<서울 용산구 치매안심마을, 왜 과정이 비공개인가?>와
<용산구 세금 낭비의 대표작'용산가족휴양소>에서도 봤듯, 이번 용산구의 치매안심마을 사업은 주민의 의견수렴과 제대로 된 논의도 없이 구청장의 공약으로 인해 추진되는 구비 128억 1500만 원 짜리(국시비 포함 총 건립비는 175억 1500만 원) 사업이다.
용산구가 추진하는 치매안심마을 외 다른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치매안심마을은 치매 환자들이 자신이 살아온 지역사회에서 오랫동안 사회생활을 유지하며 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겪는 부양 부담을 경감시켜서 치매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사업이 대부분이다. 즉, 치매 환자가 익숙하고, 안심하게 그동안 살아온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사회활동에 지속해서 참여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것이다.
이는 노인복지정책에서의 새로운 개념으로 자리잡힌 'Aging in Place' 즉, 노인이 노인요양시설 등이 아닌 자신이 살아온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노후를 보내는 것과 일맥상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