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욱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오른쪽)이 지난 3월1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현충탑 참배를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미상호방위조약 4조 등은 한국이 주권국으로서 당연히 가져야 할 군사적 자주권 문제,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미국이 중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면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태롭게 만들 소지가 적지 않다는 사실이다. 한미상호방위조약은 195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21세기에 걸 맞는 것인지, 특히 미중패권경쟁이 격화되는 시기에 국익에 보탬이 되는지, 남북한 경색국면의 해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공론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 미국의 대북 정책 수립에서도 객으로 전락
미국이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의해 사실상 '갑'이 되면서, 한국은 한반도에서 주역이 되지 못하고 객으로 전락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국무부는 지난 21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 측에 제안한 북핵 해법과 관련해, 바이든 행정부가 동맹 등 다양한 목소리를 통합한 체계적인 대북정책을 계속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실은 21일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북핵 해법에 대해 바이든-해리스 정부는 북한이 주변국과 국제사회에 가하는 점증하는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대안들(options)을 평가하며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철저한 부처 간 검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무부 측은 이어 미국이 미 정부 내부와 매우 가까운 동맹들 및 동반자국가들의 다양한 목소리와 다른 이해당사국들의 의견(inputs)을 통합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대북)정책 과정을 계속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자유아시아방송 2021년 4월21일).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1일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미북 대화를 속히 재개하는 것이 북한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북한 비핵화 방안으로 미북이 서로 양보와 보상을 '동시적으로' 주고 받으면서,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비핵화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미중 간의 갈등이 격화된다면, 북한이 그 갈등을 유리하게 활용하려고 할 수 있다며 미국이 북한 문제와 기후변화를 포함한 세계적인 관심 현안에 대해 중국과 협력하라고 촉구했다.
미 국무부의 태도는 한국이 한반도 당사국으로 남북교류협력 등을 통한 평화통일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전혀 인정치 않는 태도다. 미 국익을 최우선시하면서 한국을 동등한 유엔 회원국으로 인정치 않는 오만불손한 태도를 과시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군사 주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미국에 예속된 상태라서 빚어지는 현상으로 지난 수십 년간 한미군사동맹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드러내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보면 경제력이나 국방예산 규모가 세계 10위권이다. 세계 2백 여 개 국가 가운데 상위권에 속한 국가의 국격에 맞게 국민을 섬기는 민주주의 정부라면 한미군사동맹의 현주소에 대해 솔직히 밝혀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국방부, 외교부 등은 마치 한국이 미국과 대등한 주권국가인 것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언행만을 국민 앞에서 할 뿐이고 언론도 그에 호응하는 보도를 할 뿐이다. 이 부분은 과거 국가보안법에 의해 조성된 적폐의 하나라 해도 민주화가 상당히 진전된 오늘날에도 시정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심각한 권언유착처럼 보인다.
정부, 한미동맹 실체에 대해 솔직해야
촛불정부라 하지만 한미동맹과 관련해서는 관과 민의 관계는 권위주의 정부시절의 그것과 흡사하다. 성주 사드 기지의 민관 충돌에서 반복되는 것처럼 대통령, 국방과 안보, 외교 장관 등 공직자의 솔직하지 못한 태도, 경찰의 물리력 행사는 과거와 동일하다. 언론의 책임도 크다. 세계 여러 나라에 특파원이 가 있어 자주권에 대해 잘 알고 있을 언론은 그 부분에 대해서는 보수, 진보 언론 가릴 것 없이 무감각하고 무책임해 보인다.
언론은 한미군사관계의 현주소에 대해 사실관계에 입각해 보도를 해야 하지만, 한미군사동맹의 실태에 대한 핵심적 사실에 대해 침묵하면서 한반도 평화통일 노력에 등을 돌린 듯한 국제적으로 수치스러운 일이 반복되고 있다. 미국의 '슈퍼 갑' 위상에 대해 필리핀, 일본과 미국의 군사관계 등과 비교하면 그 실체가 분명해지는데, 이런 일이 정부나 주요 대중매체가 외면하고 있다면 심각한 일이다.
정부와 언론의 이런 태도는 결국, 미국이라는 군사적 실체는 뒤쪽에서 이익만 챙기는데 소성리 주민들과 경찰의 충돌이라는 참혹한 사태가 반복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배치할 권리'? 일본·필리핀엔 없는, 한미방위조약 속 불평등 규정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