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오마이뉴스>와 인터뷰하고 있다.
남소연
- 선거에서 참패했지만, 전당대회에서도 쇄신의 방향이나 방법 등을 둘러싼 토론이 치열한 분위기는 아닌 것 같다.
"이번 전당대회 자체가 당원들과 만남이 불가능하다. 합동연설회 등을 할 때 유튜브 생중계를 봐도 시청자가 보통 150명, 많아야 250명이더라. 구조적으로 당원들과 소통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후보자들이 4.7 재보선 평가나 쇄신 노력 등을 많이 얘기할 기회가 부족했다.
그런데 저는 4.7 재보선 결과는 우리의 정책과 태도의 문제라고 본다. 이걸 철저하게 분석해서 혁신안을 내놔야 한다. 하지만 은근슬쩍 이 문제가 계파 또는 청와대의 문제인 것처럼 보는 발언들이 전당대회에서 나왔다. 굉장히 잘못됐다. 당의 시스템이나 당청 관계 문제를 봐야지, 마치 우리 정체성이나 가치·계파 문제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프레임 씌우기다. 당에도, 한국 정치에도 도움되지 않는다."
- 강성 지지자, 이른바 '문파' 문제도 논란거리다. 조응천 의원은 27일 페이스북에 '문파가 문자행동을 할수록 재집권은 멀어진다'고 썼는데.
"저는 그게 '문제'가 아니라 하나의 '요소'라고 본다. 강성 지지층에게 책임을 돌릴 게 아니다. 인기영합주의에 편승하지 않도록 잘 경계해야 하는데, 중심을 못 잡은 것은 우리 책임이다.
우리는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국정수행 지지율에 편승한 경향이 있다. 또 당의 정책 해결 능력을 훨씬 확장해야 했는데 오히려 폐쇄적으로 변했다. 더 의석 수가 적었을 때는 을지로위원회 등을 만들어 적극 현장을 찾았다. 지금은 (현장 사람들을 여의도로) 불러들여서 (이야기를) 듣지 않나.
또 하나 중요한 것, 놓친 것이 있다. 국민들이 '민주당은 여의도에만 있구나'란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국민의힘이 지배하는 지역과 민주당이 적극 지지를 받는 지역에선 정치의 품질이 달라야 할 것 아닌가. 또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잘하니까 광역단체장 평가 1위를 하지 않나. 그런 지방자치 영역에서도 민주당의 정책·소통 능력을 훨씬 키워야 한다."
"기준 없는 국회의원 부동산 전수조사는 폭탄놀이"
- 계속 민주당의 정체성, 가치 등은 지켜가야 한다고 말하는데, 민주당이 어떤 면에서 그걸 잘 못 지켰다고 평가하는 건가.
"민생 문제에는 굉장히 세심하고 정교하되 가치나 도덕적 기준에는 단호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까지 이 모든 과정에서 임기응변, 현상적인 대처만 많이 했다.
이를 테면 부동산 문제도 1가구 2주택도 안 된다며 처분하라고 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부모 부양이나 자녀 교육 등으로 1가구 2주택인 경우도 있다. 도시민들이 지방에 생계를 위해 보유한 집도 있는데, 우리는 그것까지 단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책 불신이 생겼고, (민주당이 내세운 기준이) 사회적으로나 도덕적 규범으로 자리잡는 것에도 실패했다.
또 공직자 부동산 투기 의혹이 터지니까 9급 이상 모든 공직자의 부동산을 신고하자는 얘기도 나왔는데, 어찌 보면 '마녀사냥' 같은 느낌이다. 투기성 부동산은 엄단해야 하지만 민생·생계형 부동산은 그보다 자유로워야 하는 게 민주주의고, 시장주의에 기반을 둔 대한민국에 맞는 정책이다."
-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친문'이고, 대학생 시절인 1985년 미국 문화원 점거농성을 했던 '86세대'다. 친문과 86세대가 민주당을 주도하면서 세대교체도 안 되고, 당에 온정주의가 작동했다는 평가는 어떻게 생각하나.
"아주 어려운 질문인데... (안경을 고쳐쓴 뒤) 일단 저는 입당한 지 6년 정도밖에 안 돼서 계파엔 어울리지 않는다. 다만 문재인 정부를 만들 때 기여한 부분은 있다. 또 저는 (중앙정치 중심으로 활동한) 86세대의 길을 걷지 않고, 현장·지자체의 길을 쭉쭉 걸어와서 계파를 따지는 것을 경계한다. 또 언론 등에서 이렇게(친문, 86세대) 말하는 것은 분열과 갈등의 프레임이라 생각한다.
우리 스스로 도덕적 기준을 굉장히 높여야 한다. 동시에 정교해야 한다. 그런데 정교하지 못해서 자해적·자학적 기준을 너무 많이 설정했다. 국회의원 300명 부동산 전수조사만해도 우리가 기준을 설정해서 들어가야 한다. 그것도 없이 결과 나와서 공개하면 어떻게 될까. 얼마나 위험한 폭탄놀이인가. 그런 경계를 잘 구분해야 한다."
- 그럼 민주당 소속 공직자 때문에 보궐선거를 하게 되면,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던 당헌당규도 비현실적이었다고 보는가.
"우리가 여러 공론화 과정을 거쳐 바꿨으면 모르는데, 정해 놓은 규칙이 우리한테 안 맞으니까 당원투표를 핑계로 바꿔버렸다. 이런 게 임기응변식이다. 저는 광역자치단체장이 잘못했더라도 개인의 과오와 나라 전체 살림의 책임감을 비교해보면, (무공천 당헌·당규가) 조금 과도한 점이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당이 그런 원칙을 변경하는 과정은 대단히 무리였다."
"누군가의 불로소득은 누군가의 피눈물... 이걸로 막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