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의원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한 특수본 수사를 불신한 조선일보(6/9)
조선일보
또한 "더 기가 막히는 것은 비례대표인 윤미향, 양이원영 의원의 경우"라며 "일본군 위안부 운동과 탈원전 환경 운동을 했다고 여당 국회의원이 됐는데 투기 의원 명단에 포함됐다"며, 두 의원을 특정해 비판 수위를 높였습니다. "비례대표는 출당되면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을 근거로 "민주당은 이들에게 출당 조치를 했지만, 의원직을 유지시켜 주려는 '봐주기 징계'나 다름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설 마지막에는 문재인 대통령 사저 농지 구입, 이해찬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소유 농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전셋값 인상 등을 거론하며 "이번에도 조사하는 척, 수사하는 척하고 아무 일 없었던 듯 넘어갈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논리적 근거보다는 진영논리에 입각해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히 하면 불륜) 정부니, 수사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지은 셈입니다.
이번 사안을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와 공공부문 부정부패 척결을 넘어 서민주거 안정과 공공주택 확충이란 정책 관점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조선일보에서 찾아볼 수 없습니다.
민주당 투기 의혹 현장 달려간 JTBC‧SBS
이와 달리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주장을 검증한 언론도 있습니다.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은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은 '결백을 입증한 뒤 복당하겠다'며 탈당 권유를 수용했습니다. 반면 김한정(업무상 비밀 이용 의혹), 김회재(부동산 명의신탁 의혹), 오영훈(농지법 위반 의혹), 우상호(농지법 위반 의혹) 의원은 탈당을 거부하며 해명을 내놨는데요. JTBC‧SBS 등은 해당 의원의 해명이 사실인지 확인했습니다.
JTBC '우상호·서영석 의원 의혹 해명, 실제 땅 찾아가 보니...'(6월 8일 이자연 기자)는 탈당 권유를 수용한 서영석 의원과 반발한 우상호 의원이 소지한 땅을 찾아갔습니다. JTBC는 서영석 의원의 "신도시 지구와 큰 도로를 사이에 두고 있어 가격 변동도 없다"는 해명을 확인하기 위해 인근 주민을 취재했는데요. 인근 주민은 "올 2월에 110만 원씩 했는데 지금 150만 원에 내놓으니까", "위치가 좋으면 팔리고 위치가 안 좋으면 안 팔리고"라며 가격 인상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우상호 의원의 "어머니 사망으로 급하게 묘지를 구입했고, 가매장(임시매장) 제도를 이용해 포천시청의 안내를 받아 가매장해 묘지를 썼기 때문에 법 위반은 없다"는 발언도 검증대상이 됐습니다. JTBC는 포천시청 관계자에 "지금 기준으로 그런 안내가 나갈 수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어도, (당시 안내가 됐다는 게) 사실인지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답변을 받고, "우 의원이 혐의를 벗으려면 포천시청에서 어떤 안내를 받았는지 정확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SBS '"3년 새 10배 올랐다"... 투기 의혹 현장 가보니'(6월 9일 유수환 기자)도 임종성·서영석 의원 등이 소유한 토지를 찾아 구입 당시와 현재 시세 등을 따졌습니다. 인근 지역 공인중개사 발언을 통해 "(지금) 웬만한 땅은 없어서 못 팔 정도", "(평당 90만 원 선이었는데 현 시세는) 150만 원, 170만 원 그 정도. 위치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장동 신도시 영향도 좀 있다"고 전했습니다.
물론 JTBC, SBS 보도가 해당 의원들의 주장을 100% 검증했다고 보긴 힘듭니다. 다양한 취재원을 통한 다각도 검증이 좀 더 이뤄지지 않은 점은 아쉽습니다. 다만, 진영논리에 입각해 미리 수사를 불신하거나 더불어민주당 내부 갈등 또는 여야 간 정쟁 등으로 몰아가지 않고, 사실관계를 직접 확인해 검증하고자 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언론이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거나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가 아닌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역할을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투기 의혹 해명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더욱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부동산 투기 의혹 '국민의 눈'으로 봐라
국민권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의원 부동산 투기 전수조사는 '고위공직자가 직위를 이용해 부동산을 투기 수단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는 국민 요구에서 시작됐습니다. 이런 국민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의원은 여야를 막론합니다. 따라서 언론은 이번 전수조사 결과 발표를 포함해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 300명 모두가 마땅히 조사에 참여할 것을 적극 촉구해야 합니다. 하지만 국회의원 전수조사를 강조하거나 그 필요성을 부각한 언론은 찾기 힘들었습니다.
그 원인엔 언론이 이번 발표를 '더불어민주당 사건·사고'로 여기거나 '국민의힘 대응 사안' 정도로 인식한 영향이 있을 것입니다. 부동산 전수조사를 '정치 공방' 정도로 치부하는 경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기본 정보조차 검증하지 않고, 특정 정당 주장을 그대로 받아쓰는 관행이 만든 문제이기도 합니다.
국민의힘을 제외한 5개 야당(정의당·열린민주당·국민의당·기본소득당·시대전환)은 6월 9일 소속 의원과 그 직계 존·비속에 대한 부동산 거래 전수조사를 국민권익위원회에 의뢰했습니다. 법 원칙에서 벗어난 감사원 감사를 주장했던 국민의힘도 거센 비판을 받은 뒤 6월 11일 국민권익위원회에 전수조사를 의뢰했습니다.
부동산 투기가 뿌리 뽑히기 위해서는 언론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지긋지긋한 정파성과 진영논리에서 벗어나 국민의 눈으로 부동산 투기 문제를 바라보는 보도가 절실한 순간입니다.
* 모니터 대상 : 2021년 6월 8~9일 KBS <뉴스9>, MBC <뉴스데스크>, SBS <8뉴스>, JTBC <뉴스룸>(1,2부), TV조선 <종합뉴스9>, 채널A <뉴스A>, MBN <종합뉴스>, 6월 9~10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지면 보도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4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공유하기
LH 투기 '맹폭'하더니 국회의원 전수조사 '이중잣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