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확률과 통계' 30번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그러나 '확률과 통계' 선택자들은 가산점을 부여받지 못하는 대신, 선택과목의 난이도가 타 과목에 비해 쉽다. '확률과 통계'의 학습 분량, 문제 풀이 시간이 타 과목 선택자에 비해 적기 때문에 '확률과 통계' 선택자들은 공통과목을 학습하고 문제 풀이를 할 수 있는 시간이 그만큼 늘어나 공통과목 문항에서 고득점을 할 확률이 타 과목 선택자에 비해 매우 높다.
또한, 공통과목 문항 수가 선택과목에 비해 가장 많기 때문에 공통과목에서 고득점을 할수록 성적 산출 과정에서 유리해진다. 따라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집단의 수준이 떨어져서 얻는 불이익은 어느 정도 상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률과 통계' 선택자의 1등급 비율이 타 과목 선택자에 비해 낮은 이유는 결국 '수포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 부분의 대해서는 '확률과 통계' 선택자들의 탓으로만 돌리기에는 문제가 있다. 결국 우리나라의 문·이과 분리교육이 잘못되었음을 증명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이 '수포자'인 집단과 '수포자'가 아닌 집단을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수학을 가르친다고 해서 '수포자'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수포자'로 낙인을 찍어 수학에 대한 학습 욕구와 의지를 꺾을 뿐이다.
현재 문·이과 분리교육을 하는 나라는 한국, 중국, 일본 세 나라뿐이다. 문·이과 분리는 일제 시대에 잔재로서 1995년에 공식적으로 교육과정에서는 폐지되었다. 그러나 대학 입시에서는 문·이과 구분이 여전히 존재했고, 학교 교육은 이를 무시할 수가 없었다.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제서야 수능에서 문·이과 통합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대학에서 여전히 문·이과를 구분하여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융합형 교육이 의미가 없다'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문·이과를 분리해서 가르치는 중국과 일본 역시 문과 수학 교육과정에서 삼각함수, 미분·적분 뿐만 아니라 심화 수준의 수열과 공간벡터 내용까지 배우도록 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대입시험인 '가오카오(高考)'에서도 최근 문·이과 통합 시험이 시행되어 사회·자연 과학의 내용을 모두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최근 비대면 사회로 빠르게 전환됨에 따라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 IT 기술이 강조되다보니 이제는 문과 출신 취업 준비생들도 코딩 학원을 다니며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있으며, 이공계 학과 역시 응용학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수포자'들도 수학을 포기하지 않도록 문제풀이 위주의 수업보다는 흥미를 유발하는 교육 활동이 필요하며, 수능 수학 영역을 지금처럼 특정 과목만 제한적으로 출제할 것이 아니라 출제 범위를 확대하고, 늘어난 학습분량으로 시험에 대한 변별력을 확보해 수학의 본질적인 부분을 벗어나지 않도록 출제해야 수학에 대한 학력 격차도 줄어들고, 융합형 인재를 길러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8
세상과 공유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바로 연결하겠습니다.
공유하기
문·이과 통합 수능으로 드러난 우리 교육의 현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