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산단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光 클리닝
문길주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는 지금 경남에 3개가 있고, 그리고 최근 광주에 문을 열었다. 지자체에서 위탁 운영을 하고 있어 아주 적은 금액을 내면 노동자들이 깨끗한 작업복을 받아볼 수 있다. 그런데 문 센터장은 광주전남지역에서 활동을 하는데,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가 먼저 세워진 것은 경남에서였다. 왜 그랬을까?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는 2011년 발암물질 실태조사 하면서 생각한 것을 정책으로 추진하려 한 것이었어요. 실제로 하게 된 것은 제가 광주근로자건강센터에 있을 때였습니다. 금속노조 있을 때 산업단지마다 작업복 세탁소를 세워야 한다고 제가 그랬어요. 그런데 근로시간면제 철폐 투쟁에 묻혀 추진되지는 못했죠. 2018년 지자체 선거 때 광주시장 후보들에게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추진할 의향이 있는지 질의서를 보냈어요. 모두 좋다고 하더라고요. 현 시장이 후보일 때 당시 근로자건강센터에도 방문했어요. 광주에 산업단지 7개 있는데, 산업단지마다 세탁소를 만들자고 했죠. 그때 해당 후보가 적극 추진하겠다고 보도자료도 냈고 시장으로 당선됩니다. 그런데 만드는 데 4년이 걸렸죠. 임기 끝날 때쯤 되어서야 실행된 거죠.
공약으로 내건 후보가 당선되었기 때문에 금방 시행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바로 되지는 않았어요. 시행하려면 타당성 조사를 하고 시의회에 올려야 하는 것이었는데 시의회에서 예산을 줄여버린 거죠. 그래서 여론을 만들었습니다. 결국 2천만 원 예산을 만들었고요. 광주 시의원이었던 윤난실이라는 분이 경상남도 사회혁신단장으로 가셨는데요. 이 분이 누가 봐도 좋은 안이었으니 추진했고 김해에서 작업복 세탁소를 먼저 만들었어요. 민주노총, 금속노조, 상공회의소까지, '노·사·민'을 모두 불러서 회의하고 추진한 겁니다."
노동자들은 종일 작업복을 입은 채 작업을 한다. 단순하게 더러워지는 것은 물론 각종 유해 물질로 오염될 수 있어, 노동자 개인이 집에 가져가 세탁한다면 노동자 건강은 물론 가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업무 때문에 오염된 작업복 세탁을 사업주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 문길주 센터장의 생각이다. 사업주뿐만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 지원까지 연결시켜야 한다는 생각이다.
"안전모가 노동자를 보호하듯 작업복도 노동자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의사, 간호사 가운같은 거죠. 작업복은 회사에서 지급하는 필수품이에요. 노동자 작업복이 얼마나 청결한지가 노동자 안전과 건강에 직결됩니다. 작업복은 항상 입기 때문에 특히 중요합니다.
세탁소 건립을 행정 차원에서만 해서는 안 됩니다. 중요한 것은 노동자들의, 특히 50인 미만 중소 영세기업 노동자들 의견입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행정만 가고 노동계가 따라오는 상황이거든요. 노동자들의 고민이 들어가야 해요. 세탁, 건조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과 휴식을 포함해야 합니다. 광주는 아직 세탁만 맡고 있는데 아직 해야 할 숙제가 있는 거죠.
작업복 세탁소를 단순히 작업복 빨아주는 것으로 생각하면 안 돼요. 그럼 실패하는 거죠. 산업단지 노동자들의 의견을 듣고 조직하는 구조가 되어야 합니다. 노동자들이 자조적인 모임으로 만드는 것도 중요하고, 여기에 건강 상담, 실태조사 등 프로그램 만들면서, 산업단지가 친노동적인 곳으로 기능하도록 해야 해요. 문제점을 서로 발견하고 공유하는 구조로 가야죠. 아파트 놀이터같이 어린이들이 몰려오고, 또 시설에 투자하는 식으로요."
도시에서 농어촌으로 확장하는 노동안전보건 활동
작업복 세탁소가 생긴 곳은 주로 산업단지인데, 문 센터장은 제조업 공장 외에도 농민들에게도 역시 세탁소가 필요하다고 얘기했다.
"농민들은 농약을 사용하니 옷에 농약, 흙먼지가 항상 묻어있죠. 옷을 그대로 두고 다음날 또 입게 되고요. 농촌에는 이주노동자도 많은데, 국가가 그런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고, 만들 때도 되었어요. 노동자·농민 세탁소가 필요합니다. 제주도를 보면 소규모 건설이나 천리향, 귤 농장이 많습니다. 그런 농장에는 이주노동자가 많고, 농약을 많이 쓰죠. 작업복 세탁소는 농촌 노인, 이주노동자들에게도 필요합니다. 농민과 노동자가 함께 쓰는 식으로 만들어서 농민들도 혜택 받게 해야 합니다. 그래서 2탄은 농민 세탁소입니다. 이번에도 시·도·군에서 큰 관심이 없어요. 그렇지만 지자체 선거 때 추진할 계획입니다. 농민들 대상으로 간단한 설문조사 만들어서 지자체에 뿌릴 계획이에요. 될 거라고 생각해요. 혼자 해서는 안 되고 농민회가 함께 해야죠."
노동권익센터에서는 소규모 영세 사업장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사업을 한다. 문 센터장은 활동을 지속하고 또 사업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사업 내용뿐만 아니라 기관의 형태와 쓰임새까지 그의 고민에 포함되어 있다.
"환경미화원도 시나 군으로 가면 50인이 안 되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해요. 그러니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가 없죠. 노동권익센터에서 안전보건관리를 담당하면 어떨까요. 산업안전보건팀을 만들어서 안전관리, 보건관리에 자격을 갖춘 사람을 두고 전담하게 한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사업장 컨설팅이나 보건관리를 할 수 있게 되겠죠. 이 팀이 지역의 산업안전보건센터로 발전하는 것까지도 생각해요. 또 지역에서 산업안전보건조례가 만들어지고 있는데요. 이에 발맞춰서 센터를 만들면 좋겠지만 현재로선 하기 어려우니 인큐베이팅을 시작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