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마산중앙부두 김주열열사 시신인양지에 세워진 '김주열 열사 동상'의 설명판.
윤성효
김주열 열사 동상의 설명판(부조, 돌벽)에 새겨진 '4·11 민주항쟁'이란 용어를 두고 3·15의거기념사업회와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가 논쟁을 계속 벌이고 있다.
창원시가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경남도 문화재)에 세운 동상은 지난 7월 말 제막식을 열려다가 코로나19 등 사정으로 연기됐다. 동상은 현재 비닐과 테이프로 가려져 있다.
이 동상 설명판에는 '4·11민주항쟁'이라 새겨졌다. 1960년 3·15 때 가담했던 김주열 열사가 행방불명된 지 27일만인 그해 4월 11일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 마산 중앙부두에서 떠올랐고, 이에 시민들이 "김주열 살려내라"며 민주항쟁을 벌였다. 이것이 기폭제가 되어 4·19혁명으로 이어졌다.
설명판에 새겨진 '4·11민주항쟁'에 대해, 3·15사업회는 지난 12일 "3·15의거 역사 왜곡 부분 지우고 김주열 열사 동상 즉시 제막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그러자 김주열사업회는 17일 "4·11민주항쟁, 3·15사업회는 무엇이 두려운가"라는 제목으로 반론을 낸다.
3.15사업회 "공인된 역사를 일방적으로 두 동강 낼 수 없다"
3·15사업회는 "부조에 새겨진 3·15의거를 일방적으로 왜곡 정리한 4·11민주항쟁 명명 부분은 전면 삭제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개인이나 특정단체가 3·15의거를 두고 임의대로 명칭을 사용할 수는 있겠지만 공공의 구역에 설치된 공공재에 절차적 공인도 없이 새기는 것은 명백한 왜곡을 넘어 다른 합리적 의심을 가지게 할 뿐"이라고 했다.
또 3"3·15의거는 3월 15일 1차 항쟁과 4월 11~13일 사이의 2차 항쟁으로 정의된다"며 "<3·15의거사>, <마산시사>, 초중고 교과서, 법률, 학술논문 등에서 일관되게 공인된 민주역사"고 강조했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이들은 "윤상원 열사의 죽음이 5월 27일이라는 이유와 이웃인 담양을 비롯한 주변 지역에서의 항쟁을 별도의 민주항쟁이라는 이름으로 부르지 않고 5·18이란 이름으로 통칭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3·15의거는 3월 15일 1차 항쟁과 4월 11~13일 2차 항쟁으로 분리해서 별개의 민주화운동으로 정의할 수 없다"며 "김주열 열사를 추모하고 기념하는 단체가 왜 굳이 역사를 두 동강을 내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했다.
3·15사업회는 "지난해 6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에서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우리는 김주열사업회 측에 발표, 또는 토론자로 나와 주시기를 수차 요청하였지만 거부하여 제대로 된 논의를 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3·15사업회는 "아직 정리되지 않은 역사 논쟁이라면 기존에 정리된 대로 하면 될 것을 굳이 여기에 일방적으로 새겨 논란을 일어 키는지, 그 저의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이들은 "3·15의거의 일관된 공인 역사를 일방적으로 두 동강을 낼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며 "즉시 문제되는 부분을 삭제하고 이 사안의 본질인 '김주열 열사의 동상'을 제막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