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사회는 남성생계부양자-여성돌봄전담자 이데올로기로 성별 역할 분리가 강화되고, 노동자들은 자기 돌봄과 가족 돌봄을 외면하거나 여성의 독박 돌봄 노동에 의지하고 있다. 게다가 자본주의가 구축한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 대량 폐기로 인한 심각한 기후 위기를 마주하였기에, 4회 페미노동아카데미를 통해 우리가 처한 현실을 진단하고 대안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강의를 진행하였다.
한국여성노동자회
돌봄이란 삶에서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갑작스레 필요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예상하지 못하는 순간이란 다른 한 편으로는 늘 일상에 붙어있는 것이기도 하다. 누구나 삶의 어떤 순간에는 아프기도 하고, 돌봄을 필요로 하는 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흔히 돌봄을 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정해져 있다고 생각한다. 돌봄은 늘 비일상적이고, 궂은 일, 험한 일로 인식되는 한편,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로 평가 절하되기도 한다. 이상한 일이다. 살아있는 존재라면 누구나 아픈 순간, 돌봄이 필요한 순간이 온다. 주변의 누군가에게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순간도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일이다. 그러나 우리는 일반적으로 그런 상황을 잘 상상하지 못한다. 일상에 붙어있는, 누구에게나 중요한 일임에도 불구하고, 돌봄은 왜 정치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공동의 일로 여겨지지 못하는 것일까. 이러한 의문을 갖고 한국여성노동자회의 제 4회 페미노동아카데미를 듣게 되었다. 가족과 돌봄, 그리고 그 대안에 대한 구조적인 고민들이 이어진 강의였다.
'가족주의'의 발전, 규범화된 '정상가족'
첫 번째 강의는 홍찬숙 선생님의 <한국의 노동시장 가족주의와 돌봄노동의 의제화>라는 강의였다. 한국의 노동시장 가족주의가 성립한 배경을 설명하는 첫 강은, 돌봄 문제의 기반이 되는 한국의 가족주의 성립 배경을 서구의 공·사 개념과 대비시켜 비교하며 구조적으로 설명하는 강의였다.
서구의 근대적인 공사 개념은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 모델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구분 아래 개인 소유자인 시민의 가족, 경제생활은 곧 '사'적인 영역으로 여겨지며, 개인들의 이익 조정은 '공'적인 영역으로 이해된다. 이에 반해, 한국의 공·사 구분은 공동체의 의리(효)와 개인의 사적 이익 추구(악)으로 나뉜다. 사대부의 내외규범 역시 집안 살림과 정치로 나뉘는데 이때의 정치는 도덕적 관념의 공동선이라 할 수 있다. 즉, 개인의 권리보다는 집단의 도덕적 관념이 중시되고 가족은 정치로부터 대척점에 위치하게 된 것이다. 이후 산업화 시기를 거치며 서구의 공·사 분리는 한국의 집단주의적 속성과 결합되고, 사대부에 한정되어있던 가족주의는 사회 일반적인 규범으로서 전 영역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배경 설명은 5강 김순남 선생님의 <이성애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공고히 하는 남성생계부양자 모델 해체하기>로 이어진다. 한국의 공·사 구분으로부터 이어진 분리는 국가의 이해와 결합하며 정상 가족을 수호하는 이데올로기로 전 사회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족의 사적 영역화와 함께하는 '가족주의'는 가족 내 공동선으로 인식되며, 전 사회적인 가부장적 질서를 유지하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는 국가가 가족 내 남성생계부양자모델 이외의 다른 가족 유형을 병리화, 격리하면서 더욱 공고히 지속된다.
3강, 석재은 선생님의 <비혼 딸의 부모 돌봄 경험이 말하는 것들>은 좀 더 세부화된 가족 내 돌봄의 문제와 돌봄 공백의 문제를 다룬다. 국가가 지지하며 유지되는 가족주의는 구체적인 삶에서 돌봄 전가로 드러난다. 국가는 돌봄 친밀성의 책임과 역할을 가족에게 전가하고, 이렇게 전가된 돌봄의 역할은 이성애 가족 내에서 가부장적 질서에 따라 여성의 일로 여겨지게 된다. 사적 영역인 가족 내에서 행하는 돌봄은 공적 담론으로 포섭할만한 것이 아닌, 평가 절하된 여성의 도덕적 의무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규범은 필연적으로 현실과의 괴리로 인한 돌봄 공백을 낳으며, 이러한 돌봄 공백으로 인해 생겨나는 노동, 주거 등의 불평등은 차별로 이어진다, 이에 국가는 잔여적 복지를 통해 '정상 가족'으로의 복귀를 강요하고 있지만, 이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 방법으로 기능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