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발사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5일에 이어 11일 다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한 데 대해 한미일 및 국제사회의 대응이 발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1일 오후 성 김(Sung Kim) 미국 대북특별대표와 한미 북핵수석대표 유선 협의를 가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양측은 이날 북한이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한 데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했으며, 굳건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한 확고한 연합 방위태세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앞으로도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가운데 긴밀한 한미 공조를 토대로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핵수석대표 간 협의 개최 등 한반도 정세 관련 한미일 3국 간 지속적 공조 노력을 계속 경주해 나갈 예정"이라며 "북한도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해 대화 재개와 협력에 조속히 호응해 나올 것"을 촉구했다.
노 본부장은 이날 후나코시 다케히로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하고도 통화해 발사체 발사에 대한 분석 및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하는 한편, 양국간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노 본부장은 지난 5일 북한이 탄도미사일로 보이는 또 다른 비상체를 발사했을 때도 성 김, 후나코시 등 미일 북핵 수석대표와 전화협의를 가진 바 있다.
규탄 성명 불참 이유는? "대화 재개를 위한 모멘텀 유지 필요성 고려"
이와는 별도로 성 김 대표와 후나코시 국장도 미일 양국간 전화협의를 가졌다.
미국과 일본, 알바니아, 프랑스, 아일랜드, 영국 등 6개국은 10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공개토의를 앞두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목표로 언급한 성명을 내놨다. 우리 정부는 참여하지 않았다.
최 대변인은 이 성명에 우리 정부가 참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 그리고 대화 재개를 위한 모멘텀 유지 필요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했다"고 밝혀 종전선언 등 남북대화 추진 중을 고려했음을 시사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북의 미사일 추가 발사로 인해 안보리가 재소집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사국들의 제안이 있어야 하는데 관련 소식을 추가로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은 11일 오전 7시 27분쯤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비행거리 700km 이상, 최대고도 약 60km, 최대속도 마하10 내외의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1발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합참)는 밝혔다.
합참은 이어 이 미사일이 "북한이 지난 1월 5일 발사한 탄도미사일보다 진전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