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들이닥친 '녹조'2012년 8월, 한강 서울 일부구간(강동대교와 잠실대교 사이)에 조류주의보가 발령된 가운데, 잠실대교 하류 14km 아래쪽인 원효대교 북측 한강물이 녹조현상으로 인해 초록색을 띠고 있다. 녹조띠 사이에 떠 있는 죽은 물고기에 파리떼가 달라붙어 있다.
권우성
유력 대선 후보들이 4대강사업을 둘러싼 대립적 견해를 밝히면서 4대강 논쟁이 재점화되는 양상이 됐다. 관련해 20일 <뉴스토마토>는 여러 인사들의 의견을 담아 보도했다(관련기사 :
"대선, 4대강으로 전선 확대…'윤석열정부, 제2의 MB정권'").
가톨릭 관동대 박창근 교수는 녹조 독성의 인체 영향, 즉 독성 마이크로시스틴의 농산물 축적에 따른 문제점과 녹조 독성이 에어로졸 형태로도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상돈 전 의원은 "윤석열 후보 주변을 보면 '제2의 MB정권'"이라며 "4대강 재자연화를 안 하겠다는 것에 다들 한심하게 생각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내, 특히 정권 초기 재자연화를 하지 못한 책임도 덧붙였다.
여러 지적에 대해 국민의힘 정책본부 기후환경정책분과위원장 최흥진 서울시립대 교수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이명박 정부 때는 기후 대응한다고 수량에 방점을 뒀었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녹조 문제가 있어서 수질에 방점을 뒀었다. 이 두 가지를 조화하겠다는 게 저희들의 생각이다. 물환경이 변해서 수돗물이 안 나온다고 하면 문제가 생기지 않는가. 물 이용을 염두에 두고 수질과 수량의 조화를 통해서 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겠다."
기억하겠지만, 대운하와 4대강사업에 대해 MB 측은 수량만 주장한 건 아니다. 오히려 수질 개선과 생태복원을 더 크게 강조했다. MB정부 국립환경과학원장을 지낸 이화여대 박석순 교수는 대운하 추진 당시 "배가 지나가면 수질이 개선된다"라고 주장을 했다. <조선일보> 한 논설위원은 기명 칼럼에서 4대강사업의 성패는 '수질'이라고 단언할 정도였다.
MB정부 핵심이었던 박재완 전 청와대 수석은 2010년 2일 방송 대담 프로그램에서 "일반 서민들은 수돗물을 끓여 드시거나 약수를 드시고 있는데 (4대강 사업으로) 수돗물을 안전하게 만드는 것만큼의 서민 정책이 있나"라고 말했다. 4대강사업으로 수질이 개선되면 수돗물 신뢰도 등이 높아지기에 친서민 정책이라는 의미다.
4대강사업으로 보를 만들어 수량이 늘어나면 수질이 개선된다는 것이 MB측의 핵심 주장이었다. 이 때문에 수질 총괄 부처인 환경부가 전면에 나섰다(당시는 수량은 국토부, 수질은 환경부 소관). 당시 환경부는 대국민 홍보물에서 "보를 만든다고 수질이 나빠지는 것이 아니다"라고도 했다. '고인 물이 썩는다'는 걸 다른 부처도 아닌 환경부가 부정했다.
2012년 7월 낙동강에서 녹조라떼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극심한 녹조 현상이 벌어질 때 환경부는 "4대강사업으로 수질이 개선됐다"라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강에서는 녹조로 본래 강과 다른 색이 나타나고 구제역 매몰지에서나 나올 것 같은 썩은 악취가 풍기고 있는 상황에서 4대강사업으로 수질이 개선되었다고 했다.
당시 수질 개선 보도자료 배포를 주관했던 이OO 물환경정책과장은 현재 물관리정책실장이다. 불행히도 이것이 아직도 풀리지 않고 있는 '4대강 잔혹사'의 일부다.
4대강사업에 대한 국내외 평가는 이미 끝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