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탄소중립 목표지역에너지전환 전국네트워크가 발표한 대선 10대 정책 제안 중
지역에너지전환 전국네트워크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마지막' 대통령을 뽑는 선거
향후 5년간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대통령선거가 진행되고 있다.2030 1.5도 시나리오상으로도, 7년 4개월 남은 탄소시계를 보더라도 대한민국에서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마지막 대통령을 뽑는 선거다.
그런데 TV토론에서도, 언론에서 보도하는 주요 후보들의 유세발언에서도, 집으로 배달 온 후보공보물에서도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정책과 주장은 전혀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고 있다. 유세 현장에서는 온갖 혐오와 비방, 퍼포먼스만 난무한다. 어떤 후보는 기후위기를 극복하겠다고 외치면서 한 쪽으로는 신공항을 더 건설하겠다고 하고, 과거 이명박도 달성하지 못한 성장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주장한다. 저성장, 코로나 팬데믹, 기후위기 시대에 말이다.
또 다른 후보는 아직 있지도 않은 차세대 원전 기술로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주장한다. 한 술 더 떠서, 문재인 대통령은 5년내내 주장하던 탈원전 정책방향과 반대되는 '향후 60년 원전 주력에너지' 발언으로 대선 후보들의 후퇴경쟁에 기름을 부었다.그나마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성을 외치는 군소후보들의 목소리는 다 묻혀서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다. 이러다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마지막' 대통령을 뽑을 기회가 날아갈 것 같다.
기후위기를 대하는 정치가 진짜 위기다
기후위기를 인정하지 않는 정치인은 아무도 없다.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같은 멘탈을 가지지 않고서야, 속으로는 반대하더라도 공공연하게 기후위기가 허구라는 것을 주장할 후보는 아마 없을거다.
지금 대한민국 정치는 위기에 처해있다. 역대급 비호감 대선, 미래가 보이지 않는 대선, 무엇보다 우리의 생존이 위협받는 대선이다.
결국 기후정치를 강제할 힘은 제도권 밖의 시민사회 에너지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 기후정치를 촉구하고 압박하는 시민사회의 모습을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다들 좋은 말들 뿐이다. 정책협약으로 그 역할을 축소하거나 기자회견으로 모든 것을 대신한다.
대한민국의 역사 속에서 정치가 스스로 알아서 잘 한 적은 없었다. 위기의 순간에는 언제나 민중, 시민의 힘으로 역사를 바로 잡아 왔다. 우리는 우리 모두가 살 수 없는 지구를 만들 대통령을 뽑을 마음이 전혀 없다. 그것이 우리가 멸종에 이를 수도 있는 길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우리들에게는, 지금의 답답한 대선을 넘어 정치를 바꿀 시민들의 상상력이 필요하다.
기후재난에 맞서는 새로운 기후정의운동이 필요하다. 후보가 아니라 광장에 투표해야 한다. 그리고 후보가 아니라 행동하는 새로운 기후정의운동의 탄생에 지지를 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