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민주노총에서 ‘지역형 일자리는 대안이 될 수 있는가’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김동규
지난 23일, 민주노총 중회의실에서 '지역형 일자리는 대안이 될 수 있는가?'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평등노동자회가 주최했다. 평등노동자회는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조직사업을 지원하고 새로운 노동조합 운동을 기획하는 단체다.
평등노동자회는 이번 토론회에 대해 "노동계에서 지역형 일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목소리를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그래서 무슨 이야기가 필요한 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고 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지역형 일자리)'는 노동자, 기업, 지역민, 지자체 등 지역의 경제주체들이 노동조건, 투자계획, 생산성 향상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상생협약을 체결한 후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모델이다.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되면 정부와 지자체에서 재정적, 행정적 혜택을 제공한다. 현재 정부가 지정한 지역형 일자리는 군산, 광주 등을 포함해 6곳이다.
이날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여한 김현철 군산형일자리사업단 단장은 "한국GM 군산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군산 국가산업단지 내 총생산이 절반으로 줄었다. 지난 2016년부터 2020년 사이에 군산 인구 7700여 명이 유출되었는데, 이중 약 7천 명이 청년이었다"며 군산형 일자리가 추진된 배경을 밝혔다.
이어 "2019년 상생협약을 체결했고, 2021년 지역형 일자리 지정을 받았다. 완성차 3개사와 부품사 1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상생협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노측이 5년간 파업하지 않고 상생 협의회 조정안을 수용하기로 했다"며 "이에 대해 노동권 박탈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다만 사측이 노측에게 해당 요구를 수용시키기 위해 우리사주제, 노동이사제 등을 받아들여 일종의 빅딜이 이뤄질 수 있었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수평적 원하청 관계는 상생의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라며 "단체협상을 아예 완성차 업체들과 부품 업체 관계자들을 한 자리에 모아 두고 진행할 필요성이 있을 거 같다. 원청 기업이 하청 기업의 이윤을 보장해 주어도 그것이 곧바로 하청 기업 노동자들에게 돌아가지는 않는다. 원청 기업 노조와 하청 기업 노조가 각자의 영역에서 낙수효과를 강제할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6년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로 추진된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설립으로 결실을 맺게 됐다. 현재 GGM에서는 캐스퍼가 생산되고 있다.
"노사협력 경영 한다지만, 구체적 이야기는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