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안철수 인수위원장,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인수위원들이 3월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원회에서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현판식을 하고 있다.
유성호
윤석열 당선인의 대표적인 청년주택정책은 '청년원가주택 30만호 공급'이다. 청년원가주택은 청년층에게 공공분양주택을 건설 원가 수준(시세의 60~70%)으로 공급하고, 당첨된 청년은 분양가의 20%를 내고 80%는 장기 원리금 상환 조건으로 저금리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살 수 있다. 당첨된 청년은 5년 이상 거주한 후 주택을 매각할 때 국가에 매각하고 시세차익의 70%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 쉽게 말해 시세보다 대폭 저렴하게 주택을 구입할 수 있게 해주고, 5년을 거주하면 매매차익의 70%는 개인이, 30%는 국가가 가져가는 주택 유형이다.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인수위)와 국토교통부는 청년원가주택을 강남 서울의료원 부지와 용산 정비창 부지에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용산정비창 부지에 건설된 청년원가주택에 당첨된 청년은 얼마의 시세차익을 가져가게 될까?
용산정비창 인근 현대한강아파트 전용면적 59㎡(18평) 주택이 지난 2월, 16억 7천만 원에 거래되었다. 지난 3월 인근 다른 아파트의 전용면적 59㎡도 17억 7천만 원에 거래되었다. 용산정비창에 지어지는 청년 원가주택은 신축이라 1990년대, 2000년 초반에 지어진 주변 아파트들보다 가격은 훨씬 높겠지만, 보수적으로 시세를 대략 17억으로 가정해보자.
청년원가주택은 주변 시세의 60~70% 수준으로 공급되므로 분양가는 10~12억 원 사이가 될 것이다. 시세의 65% 수준인 11억으로 가정해보자. 당첨된 청년은 분양가의 20%인 2억 2천만 원을 어떻게든 마련하고 잔금은 장기 원리금 상환 조건의 저금리 대출로 충당한다.
5년 동안 집값이 물가상승률 수준인 10% 가량 올랐다고 가정하면, 주변 아파트는 18억 7천만 원이 된다. 5년 후 수분양자 청년은 청년원가주택을 팔아서 시세차익을 얻고자 한다. 청년원가주택은 주변 시세보다 35% 저렴하게 분양받았기에 분양차익 6억 원과 5년 간 상승한 집값의 10%인 1억7천만 원을 합한 7억7천만 원의 시세차익이 발생한다.
발생한 시세차익 7억 7천만 원의 70%인 5억 4000만 원은 수분양자 청년이 가져가고 30%인 2억 3천만 원은 정부가 가져간다. 청년원가주택에 당첨된 수분양자 청년은 5년 만에 약 5억 4천만 원을 벌게 되는 것이다. 말그대로 로또 당첨이다. 유수의 대기업에 다니는 청년이 10년간 저축을 해도 모으기 어려운 돈이다.
이렇듯 청년원가주택은 청년에게 상당히 유리한 주거정책이다. 단 조건이 있다. 당첨이 된 청년에게만 유리하다. 윤석열 당선인은 무주택청년들에게 청년원가주택 30만 호를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대한민국 20~30대 청년인구는 1300만 명이 넘는다. 청년원가주택은 당첨된 30만 가구의 청년들에게는 청년을 위한 정책이겠지만, 당첨되지 못한 무주택 청년들에게는 박탈감만 안기는 정책일 뿐이다.
뿐만 아니라 용산정비창 부지나 서울의료원 부지에 지어지는 청년원가주택에 당첨이 된다면, 자기 자본만 해도 2억 원 이상 필요하다. 이 때문에 대부분 가족 찬스를 써서 자본을 조달할 수 있는 청년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윤석열 당선인의 공약에 제시되어 있는 청년원가주택은 수분양자, 즉, 가장 먼저 분양받은 청년만 커다란 시세차익을 누린다. 수분양자 청년은 시세보다 대폭 저렴한 수준으로 주택을 분양받고, 분양가의 20%만 내고 살면 된다. 그리고 5년 후에 집을 팔아 얻은 시세차익의 70%는 본인이 가져간다. 정부는 남은 30% 시세차익으로 청년원가주택 초기투입비용을 회수할 계획이라고 하니 두 번째로 청년원가주택에 입주하는 입주자는 주변 시세대로 주택을 구입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구조대로라면 청년원가주택은 처음 분양받는 30만 명의 청년 외에는 혜택을 보는 청년은 없다. 1300만명 청년 중 30만 명의 청년에게만 혜택이 가는 청년원가주택은 청년 주거복지 정책인가, 청년 희망고문 정책인가?
지속가능한 청년주택 모델 : 지분공유형 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