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사전투표 때 '임시기표소' 위치(원안).
창원시 평화인권센터
"투표소를 선정하는 과정에 장애인 등 당사자를 포함한 민관협치를 구성해 사전점검을 통해 개선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안내요원은 투표 안내뿐 아니라 인권교육을 받아 누구나 불편 없이 참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난 6‧1지방선거 당시 경남 창원지역 투표소 실태를 조사한 창원시평화인권센터가 13일 결과를 발표하며 밝힌 말이다.
이 단체는 지난 5월 27~28일 사전투표 33곳을 포함해 6월 1일 선거 당일 총 80곳의 투표소 현황·접근성·건축물출입구·건축물내부·코로나19 대응 등을 조사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장애인용 기표대 미설치 2곳 ▲시각장애인용 기표용구 미비치 1곳 ▲보행약자를 위한 주차공간 미확보 10곳 ▲경사로 유효폭 1.2m 미만 10곳 ▲주출입구 점자형 유도블록 미설치 32곳 ▲장애인 화장실 미설치 29곳 ▲장애인 화장실 전면 점형블록 미설치가 24곳으로 나타났다.
건물 내 투표소 위치는 지상 1층이 55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지상 2층 14곳, 지상 3층 4곳, 지하 1층 3곳, 4층 이상 4곳 등이었다.
단체는 "지상 1층을 제외한 승강기가 필요한 경우 미설치 된 곳은 3곳으로 조사됐다"며 "미설치된 3곳의 경우 사전투표소였는데 보행약자가 방문하면 1층에서 투표할 수 있게 안내했다"고 설명했다.
투표 시 장애인용 기표대는 2곳을 제외하고 설치한 상태였다. 시각장애인용 기표용구도 1곳을 제외하고 비치돼 있었다. 주출입구에서 투표소까지 접근성이 떨어질 경우 이동식 임시기표소(투표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하는데, 4곳은 이런 준비가 돼 있지 않았다.
이들은 "투표소 접근 시 주변 100m 이내에 언덕 등 경사로가 존재하는 곳은 25곳으로 확인됐다"면서 "지형 자체가 높은 곳이거나 학교가 투표소인 경우 정문까지 접근은 쉬웠지만 정문에서 투표소까지 계단만 있거나 경사로가 존재하는 곳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면조사시 시설 구조적 한계를 개선할 수 없어 '어쩔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