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달베이커리의 베이킹 과정매주 토요일 모여 쿠기와 빵을 만드는 과정 중 하나이다.
오성우
"계획서에 써주신 대로 청소년들이 활동을 하는 게 맞죠?"
모기관에서 물품지원 받기 위해서 달그락에서 사업을 신청했고 담당자가 계속해서 질문을 했다. 계획서에 적힌 달그락 청소년 활동에 대한 의심의 질문이 아니었다. 김대리님은 약 6년간 아동복지 관련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런 활동들을 본 적이 없다며, 국내에 이런 공간이 있다는 게 신기하다고 말했다.
대리님의 반응과 태도가 낯설지는 않다. 청소년 자치공간 '달그락 달그락'에 방문했던 상당히 많은 분들도 비슷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로 그럴 것이 청소년들이 주도하여 매주 자치기구 활동을 하고, 청소년 포럼을 진행하여 정책을 제안하며, 신문에 기사를 내고 작가가 되어 책을 낸다는 게 흔한 일은 아니었다.
청소년들이 자기 삶에 주체가 되어 참여하고, 지역사회 안에서 생명과 공생 공존하는 자치 활동이 쉽지는 않지만, 달그락에서는 그런 활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 중이다. 그래서인지 40평 남짓인 공간을 견학하기 위해 매월 다양한 기관, 단체, 사람들이 달그락을 찾는다. 물리적인 공간을 보러 온다기 보다는 여기에서 벌어지는 활동과 사람의 이야기들을 듣고 자신들의 활동에 적용해보기 위함일 것이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맞이하여, 달그락의 청소년들은 선거 후보자들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고, 당사자 중심의 달그락 청소년 10대 정책을 만들어 후보들에게 보내면서 반영을 요청 드렸다. 청소년 제안 정책 반영을 위한 후보와의 협약식도 진행했다. 이와 관련한 전반적인 과정을 달그락 청소년 기자단 Aspect이 취재했고, 이를 새전북신문에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