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숫돌 갈다 빨갱이 몰린 아버지... 아들은 '소년 빨치산'이 됐다

목총으로 군사훈련, 모의 전투까지... 평등 꿈꾼 불갑산의 두 달

등록 2022.08.18 16:03수정 2022.08.21 10:23
4
원고료로 응원
 불갑산에서 포로로 잡힌 주민들이 집단학살되어 불에 태워진 용천사 입구
불갑산에서 포로로 잡힌 주민들이 집단학살되어 불에 태워진 용천사 입구박만순
 
광주시(현 광주광역시)를 출발한 버스가 '쿨렁쿨렁'하며 비포장도로를 달렸다. 뿌연 먼지를 뒤집어쓴 버스가 밀재를 넘어 전남 영광군 묘량면 연암리 다리를 지나갈 때였다. '타타탕' '끽' 버스가 급정거하자 버스에 타고 있던 경찰들이 응사했다. 빨치산의 공격이었다.

경찰 여섯 명, 임산부 한 명 목숨 잃어

매복한 빨치산의 위치를 정확히 모르는 경찰들의 응사는 별반 효과가 없었다. 반면 엄폐물을 이용한 빨치산의 조준사격은 얼마 안 되어 경찰 6명의 목숨을 앗아갈 정도로 위력적이었다. 그나마 경찰 한 명은 달아나서야 겨우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안타깝게도 버스에 타고 있던 임산부 한 명도 총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 전남 영광군 묘량면 연암리에서 벌어진 이 사건은 1949년 가을에 일어났다.

빨치산은 왜 경찰을 공격했을까. 1948년 여순사건 이후 불갑산에서 활동하던 빨치산들에게 1949년 예기치 않은 장애물이 생겼다. 영광경찰서가 불갑산에서 태청산으로 가는 길목인 밀재에 불갑산 빨치산의 발목을 잡기 위해 출장소를 설치했기 때문이다.

밀재출장소에 주둔한 경찰은 영광군 묘량면 삼학리 삼산마을 앞 묘량초등학교 분교로 매일 출근했다. 인근에 사는 17~45세 여성들에게 죽창으로 군사훈련을 시켰다. 그러던 차에 밀재출장소 경찰들이 매일 오전 9시~10시 사이에 광주에서 버스로 온다는 정보를 접해 공격한 것이다.

소식을 전해들은 영광경찰서 기동대와 밀재출장소 경찰들이 급파됐지만 빨치산은 불갑산으로 종적을 감춘 뒤였다. 이후 불갑산 수색에 나선 경찰들은 굴 하나를 맞딱뜨렸다. 경찰들은 잔뜩 긴장해 조심스럽게 굴 안으로 진입했다. '쾅 깽'하는 돌 깨는 소리가 들렸다. 한 영감이 숫돌을 깨고 있었다.


닭 잡아 내놓으라는 경찰

"영감 이리 나왓!" 기다시피 굴 밖으로 나온 노인 김용채에게 경찰은 다짜고짜 빨치산 협력자 취급을 했다. "산사람들 어디로 갔어?" "...." "이 새×가 죽으려고 환장했나. 감히 묵비권을 행사해"라며 손과 발로 사정없이 때렸다. 하지만 산 사람이라고는 구경도 못한 김용채는 경찰들에게 할 말은 없었다.


"이 영감쟁이는 빨갱이가 틀림없어"라며 김용채에게 수건을 뒤집어씌운 후 권총 방아쇠를 당기려 했다. "잠깐만요. 저 사람은 그럴 이가 아니요"라고 한 이는 밀재출장소 주임이었다. 평소 밀재출장소 보수공사에 동원이 되었던 김용채를 알아본 주임이 그를 적극 두둔했다. 그러헤 해서 김용채는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김용채 가족은 경찰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이 일이 있기 몇 달 전에는 그의 동생이 불의의 사고를 당했다. 묘량면 삼학리 신성마을에 살던 그는 자기 논에 물꼬를 보러 가다가 영광경찰서 보안과장 지프차에 치여, 허벅다리 뼈가 부서지는 중상을 입었다. 보상은 일절 없었다. 또 김용채의 장남 김광길은 일제강점기 말에 "김일성 장군이 축지법을 쓴다"라는 말을 했다가 '유언비어 유포죄'로 목포형무소에 수감되었다. 이후 평양형무소에서 해방을 맞이했다.

김광길이 조직적인 민족해방운동에 참여했는지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김광길 집안은 자연스레 일본제국주의에 증오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정서 속에 여순사건 이후 불갑산에 진지를 구축한 빨치산의 존재는 삼학리 주민들과 군경의 갈등이 심화되는 계기로 작용했다. '동포에게 총구를 들이댈 수 없다'며 제주도 출정을 거부한 여수 14연대와 이에 호응한 시민들 일부가 무장대를 꾸려 불갑산에 입산한 것이다. 빨치산과 삼학리 신성마을 주민과의 관계는 끈끈했다. 1949년 겨울 빨치산들은 주민들에게 '김일성 장군의 노래' 등을 가르쳤고, 사격훈련을 시키기도 했다.

한국전쟁 전 불갑산 빨치산 토벌을 위해 국군 20연대가 묘량국민학교에 주둔했다. 매일 토벌작전을 벌이는 군인들에게 지급되는 군수품은 형편없었다. 그러자 주민들에게 "밥해 놔라, 닭 잡아라, 돼지 잡아라"며 강제적인 할당이 떨어졌다. 삼시세끼 해결하기도 어려운 농민들에게 군인들의 요구는 피 말리는 것이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군경을 경원시할 수밖에 없었다.

인민군 세상에서

"미제를 몰아내고 인민이 주인 되는 사회를 만들자." 교단에 선 이의 선창에 묘량국민학교에 모인 이들은 팔을 힘차게 내저으며 복창했다. 소년단장 김영승(1935년생)을 포함해 삼학리 소년들도 목이 터져라 외쳤다.

한국전쟁 발발 후 인민군은 급속히 남하했다. 1950년 7월 23일 광주와 영광·함평이 인민군에게 점령되었다. 약 15가구가 살던 삼학리 신성마을에서는 김용채 집안이 인민위원회와 유관 기관의 주요 감투를 썼다. 김용채의 장남 김광길은 삼학리 민청위원장, 둘째 며느리 정영애는 삼학리 여맹위원장, 작은딸 김영미(가명)는 묘량면 선전부장, 막내아들 김영승이 삼학리 소년단장을 맡았다.

선거를 통해 소년단장에 선출된 김영승은 소년 20명을 모아 목총으로 군사훈련을 했다. 소년들을 임의로 빨치산, 인민군, 국군 3개 조로 편성해 모의 전투를 벌였다. 민청(민주청년연맹)의 지도 아래 각종 궐기대회도 했다. 당시 주민들 대부분이 까막눈이라 소년 김영승은 노동당 삼학리세포 간사를 맡아 문서 작성을 도왔다. 또한 당비 징수 역할도 맡았고, 면에서 내려오는 지시사항을 삼학리 자연마을에 전달하는 연락원도 했다. 묘량면에서 이루어진 의용군 모집사업에 김용채의 차남 김영식이 제1기로 자원했다. 낙동강 전선에 투입된 그는 이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인민이 평등하게 사는 세상'을 꿈꿨던 인민공화국 세상은 오래가지 못했다. 불과 2개월여 인공세상을 뒤로 하고 소년 김영승 가족은 1950년 10월 6일경 태청산으로 입산했다. 신성마을 주민들 대부분도 입산하기는 마찬가지였다. 'UN군이 수복하면 모두 죽는다'는 소문이 파다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태청산에는 오래 있을 수가 없었다. 소나무와 수풀만 있는 산이라 유격투쟁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해 11월에 김영승 가족을 포함한 묘량면당부 주민들(묘량면 노동당에 속해 있거나 영향을 받은 이들)은 불갑산으로 이동했다.

불갑산은 시장통... 무장한 사람은 소수
 
 불갑산에 선 증언자 김영승
불갑산에 선 증언자 김영승박만순
 
불갑산은 딴 세상이었다. 전남도당 산하에 불갑지구당이 구성돼 불갑지구사령부(유격대)를 운영하고 있었다. 당위원장은 인공 시절 목포시당 위원장을 맡았던 김용우가, 불갑지구 사령관은 인공시절 나주군당 위원장 출신의 박정현이 맡았다.(정관호, <전남 유격투쟁사>)

불갑산지구(당)는 불갑산 용천사 아래인 해보면 광암리에, 빨치산사령부는 용천사 안에 본부를 두었다. 불갑산지구에는 1950년 10월 하순부터 11월 중순까지 함평군당, 무안군당과 영광군당 일부, 나주군당 일부, 장성군 삼서, 삼계면당이 들어왔다.

산안과 오두치 등 용천사 주변에는 이들 노동당 조직만이 아니라 불갑산 주변 미수복 지역 주민도 있었는데, 이들은 장성·영광·함평군 주민으로 빨치산의 선전에 불갑산으로 들어와 민가 주변에서 움막생활을 했다.(진실화해위원회, <2008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불갑산은 빨치산과 보급투쟁을 전담한 생산유격대원, 피난 온 주민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최소 수천 명이 운집해 마치 시장통을 방불케 했다. 하지만 전체적인 규모와는 달리 빨치산의 무장 수준은 형편없었다. 불갑산에서 연락병을 맡았던 소년 빨치산 김영승은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증언한다.

"이쟈 무장부대 사람들은 소수란 말이여. 산에서 긍게 비무장이 80-90%는 됩니다 그게. 많아야 (무장 빨치산은) 40~50명. 우리 지구당 부대가 내가 그때 파악한 것으로서는 한 30~40정. 실제 전투에 참여할 수 있고, 무장 들고 싸울 수 있는 것은 그렇게밖에 없어요."
 

무장한 빨치산이 약 500명 내외라고 소문난 것과는 달리 실제로는 위와 같이 초라했다. 여기에 수천 명의 피난민을 감당할 조직체계나 역량이 갖추어진 것도 아니었다. 그러니 불갑산에서 군경의 공격에 대비한 체계적인 방어책을 준비하는 것은 언감생심이었다.

"군인이 쳐들어 온다디야" 군인과 경찰 1천 명이 공격한다는 정보였다. 몇 시간 후 공격 병력이 500명 불어나 1500명이라는 정보가 접수됐다. 불갑지구당은 후퇴를 결정했다. 하지만 이 결정이 조직적으로 시행되지는 못했다.

김영승의 증언에 의하면 당과 무장 빨치산은 새벽 3시에 금성산으로 후퇴했고, 무안군당은 땅속 비트(비밀 아지트)로 숨어 피해가 없었다. 그런데 1951년 2월 19일 밤늦게까지 오락회를 한 함평군당은 새벽에 조직적인 후퇴를 하지 못해 몰살당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군경은 커다란 교전 없이 불갑산을 점령했고, 정작 조직적인 후퇴를 할 수 없었던 피난민들은 2월 20~25일까지 집단 학살당했다. 군경의 공격이 있던 2월 20일 오후 용천사 입구에는 불갑산에 산개해 있던 주민들이 '포로(?)'로 붙잡혀 왔다. 이들은 총살 후 불에 태워졌다. 군 장교가 한 아기의 발목을 잡고 나무에 패대기를 쳤는데, 나뭇가지에 걸려 천만다행 살아남았다.

1951년 2월 20일 새벽 금성산으로 이동한 김영승은 이후 빨치산 활동을 전개하다가 1954년 2월 20일 백운산 옥룡골에서 군경의 총탄을 맞고 체포되었다. 중앙고등군법회의에서 사형을 구형 당한 그는 최종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1989년에 총 35년 9개월의 수형생활 후 석방됐다.

김영승은 민족의 비극인 분단과 한국전쟁이 왜 발생했는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통일을 향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특히 불갑산에서 죽어 나간 약 1500~2000명의 억울한 죽음을 한시도 잊지 않았다. 그는 해방 후부터 한국전쟁기까지의 대한민국의 역사를 발로 뛰며 기록했다. 또한 통일 관련 모든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영원한 '소년 빨치산'은 오늘도 불갑산과 태청산에서 젊은이들에게 역사답사를 안내한다.
 
#소년 빨치산 #불갑산 #친일경찰 #소년단장 #불갑지구사령부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4. 4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5. 5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