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가 31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됐다.
소중한
이태원 압사 참사에서 정부·지자체가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놓고 논란이 인다. 야당은 정부가 참사·희생자라는 말을 고의로 쓰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고·사망자'라는 말은 사태를 축소하는 것과 다름없다는 것이다.
정부, 지자체 합동분향소 표현 논란
핼러윈데이를 이틀 앞두고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156명이 숨지고 151명이 다치는 참사가 발생하자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 윤 대통령은 이태원 참사 수습을 국정의 최우선 순위에 놓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급하지 않은 행사의 연기, 공무원 연가 자제, 검은색 리본 착용 등 후속 조처가 이어졌다. 서울시청 광장, 부산시청 1층 등에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가 마련됐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난 10월 31일부터 이틀째 조문객을 받고 있다.
지자체에 따르면 이러한 조처는 모두 행정안전부 방침에 근거한 것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10월 30일 관련 공문, 업무 연락이 왔다. 이에 따라 대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태원 참사 추모 대처가 정부의 지침대로 진행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야당은 '사망자·사고'라는 표현에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1일 오전 부산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을 마친 서은숙 민주당 부산시당 위원장은 "국민 안전에 대해 무한책임을 느껴야 할 고위공직자들이 책임지지 않으려고 몸부림을 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사건의 진상규명을 강조한 서 위원장은 "사고가 아니라 '참사', 사망자가 아니라 '희생자'라고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부산시당도 별도 성명에서 "(윤석열 정부가) 단순 사고로 몰아 책임을 회피하려는 게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라고 지적했다. 이태원 참사에 대해 부산시당은 "관계 당국의 안일한 대처와 안전 불감증이 빚은 인재"로 규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