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월 낙동강 화원유원지에 창궐한 녹조. 그 앞에 거대한 강준치 한 마리가 죽어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수돗물 녹조 검출'을 둘러싼 대구MBC·이승준 교수와 <조선일보>·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사이 공방이 뜨겁다.
앞서 대구 MBC는 지난 10월 중순 국내 녹조 문제 권위자인 부경대 이승준 교수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
대구 수돗물 필터 연두색 물질, 녹조로 확인>을 시작으로 다수의 관련 기사를 보도했다. 이후 <조선일보>는 10월 20일 <
국립환경과학원 "MBC, 무독성 물질을 '남세균'으로 둔갑…수돗물 공포감 조성">을 시작으로 <"수돗물 남세균" MBC가 올린 현미경 사진, 알고보니…>, <또 MBC 거짓말…대구상수도본부 "현미경 사진 제공한 적 없다"> 등 최근까지 수차례에 걸쳐 대구MBC의 보도를 비판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공방의 시작은 이렇다. 대구MBC는 지난 7월 말 대구상수도사업본부의 도움을 받아 대구 매곡정수장의 정수 수돗물을 채수한 뒤 그 시료를 이승준 교수에게 보내 분석을 맡겼다. 이후 해당 시료에서 남세균 독소인 마이크로스시틴이 검출되었고 대구MBC는 이를 그대로 보도했다.
이후 대구MBC는 달성군 주민으로부터 '집 수돗물 필터에 지난 여름부터 녹색물질이 낀다'는 제보를 받는다. 대구MBC는 지난 10월 중순 제보자로부터 수돗물 필터를 받아 이승준 교수에게 의뢰해서 분석을 맡겼고, 남세균이 검출됐다. 대구MBC가 관련 보도를 내놓자, 이때부터 <조선일보>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의견 등을 토대로 이를 비판하는 기사를 내놓기 시작했다.
<조선일보> 기사는 대구 수돗물에서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왔다는 점, 대구 달성군의 한 가정집 수돗물 필터에서 남세균(녹조)이 나왔단 사실보단, 시험방법을 문제삼았다. 연구자가 국내 공인시험방법이 아닌 방법으로 조사를 했기 때문에 그 조사결과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승준 교수가 사용한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틴 검출 조사방법인 '효소면역분석법'(ELISA법)은 국립환경과학원이 쓰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질량분석(LC-MS/MS)법'과 함께 미국EPA(환경보호청)가 공인하고 있고 실제로 미국에서 쓰이고 있는 남세균(녹조) 독소 검사법이다. 남세균 여부를 판별하는 유전자검사법(PCR) 또한 유전자를 분석해서 판별하기에 더 정밀한 분석 방법으로 여겨진다는 의견이 적지 않음에도 <조선일보>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주장을 빌려 부정하고 있다. 국내 공인시험법(현미경 검사법)이 아니란 이유로 말이다.
이에 대해 이승준 교수는 "PCR검사(유전자검사법)가 왜 문제가 되는지 정말 모르겠다. 그것이 더 정확한 방법이란 것은 연구자들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래서 논문에도 PCR검사로 조사한 결과를 공식적으로 담는다. 현미경 사진으로 연구결과를 내는 논문 본 적이 없다"라며 "우리도 남세균 검사에 있어서 더 정확히 하려고 PCR검사를 한 것이다. 그런데도 이를 부정하는 것은 연구자의 연구윤리를 의심하게 한다"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