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발표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북핵능력 강화 의미 및 한반도 정세 전망'이라는 주제의 세미나에서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이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윤종은
다자회담 등 다양한 대응 방안 강구 시급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북한의 핵무력 법제화 평가: 과정, 평가, 예측, 대응'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북한이 2022년 '9.8 법령'을 채택하여 비핵화의 문턱은 높이고 핵선제타격론의 문턱은 낮춤으로서 한편으로는 핵무력정책의 투명성을 보여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한반도에서의 핵전쟁 가능성을 더욱 키워주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같은 배경은 미국의 대북적대시정책이 결코 바뀌지 않을 것이고, 윤석열 정부의 대북선제타격론 등 강경책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김 위원장의 의지가 작용하며, 한반도 주변의 신냉전 구도 속 우방국인 중, 러가 북한의 핵정책을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자의적인 판단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향후 미국은 결국 북한 비핵화보다는 비확산에 주력할 것이며 북한이 미국의 안보 위협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 상황 유지 및 관리에 주력할 것"이라며 "제일 괴로운 것은 한국으로 북한 핵을 계속 이고 살아야만 하는 상황이 지속되는 것이다. 단기적으로 북한과 미국 모두 대화국면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적고 북한의 핵무력 고도화는 신냉전 구조 충돌의 발화점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따라서 우리는 비핵화 협상 여건이 어렵다고 남북관계를 포기해서는 안된다. 비핵화 협상은 6.12 북미정상회담 합의를 기초로 하노이 회담 결렬 이전으로 돌아가 단계적 협상안을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과거 미국이 대북정책을 전환한 대표적인 사례인 클린턴 2기 행정부 시절 '페리프로세스'를 참고하여 중, 러를 참여시켜 북핵합의의 구속성을 강화시키고 남북미중 4자회담 혹은 2000년대 중반의 6자회담 형태의 다자회담도 대안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주장했다.
주제 발표가 끝난 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북한의 비핵화보다는 비확산을 염두에 두는 미국의 정책 기조, 핵무기 보유와 함께 자력갱생 의지가 강한 북한의 타협 의지 약화, 중국의 대북 영향력 감소, 군사적 강경 대치 속 국지적 분쟁 가능성, 현 정부의 대북 정책 부재 등도 제기됐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정론직필(正論直筆) 시민기자 되기] .....서울대 영문과, 시민단체 대표, 민주화운동에 참여, 민생 민주 평화에 관심
[기사제보] 010-3341-7670 / tomayoun@hanmail.net
공유하기
'북핵 딜레마'를 벗어나기 위한 남한의 대안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