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크고래 먹방을 하는 유튜버.
유튜브 갈무리
지난달 한 유튜버가 밍크고래를 먹는 콘텐츠를 공개했다가 온라인 상에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14.2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얌야미는 1월 '두 달 기다린 밍크고래'라는 제목으로 막걸리를 옆에 두고 밍크고래 고기를 먹는 8분짜리 영상을 공개했다. 그러나 이 영상은 곧 유튜버의 사과와 함께 삭제됐다. 영상을 본 누리꾼들이 '우리나라에서 포획이 금지된 밍크고래 고기를 먹방하는 영상이 자칫 수요를 자극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기 때문이다.
한 누리꾼은 "다른 나라 혼획량은 연간 20마리인데, 우리나라는 혼획량이 약 80마리다. 근데 유통량은 200마리가 넘는다. 영상을 보고 불법 포획될 고래가 더 많아질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개인이 아닌 14.2만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유튜버로서의 영향력을 생각해주셨으면 어떨까 한다"고 지적했다.
얌야미는 곧 누리꾼들의 의견을 수렴해 "좋은 의견 감사드린다.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좀 더 많은 정보를 알아봤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에서 (밍크고래) 약 120여 마리 정도가 불법 포획이 이뤄지고 있는 것인데, 이번 기회에 저 포함 많은 분들이 고래 포획과 고래고기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었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영상을 내렸다.
한편 일부 누리꾼은 "혼획된 밍크고래를 유통하는 것은 현행법상 불법이 아닌데 혼획 밍크고래를 소비한 유튜버를 비난하거나 먹방 콘텐츠를 문제 삼는 것은 지나치다"라며 맞서기도 했다.
불법 행위가 아니라면 왜 고래 고기 먹방은 논란의 중심에 선 것일까. 왜 많은 누리꾼이 우려를 표했으며 유튜버는 영상을 내린 것일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나라가 포경 금지 국가라는 사실과 국제적으로 포경이 금지된 이유를 알아야 한다.
고래고기 소비가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이유
우선 대한민국은 국제포경위원회(IWC)에 가입국으로 1986년부터 상업 포경을 금지한 나라다. 국제포경위원회는 고래에 관한 자원연구조사 및 보호조치를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로, 1946년 12월 2일 정부간 국제기구로 출범했다. 현재 88개국이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본 기구에 1978년 12월 29일 가입했다.
19세기까지 전 세계 바다에서 무분별하게 이뤄진 고래 남획으로 대왕고래, 북극고래, 보리고래, 쇠고래, 향유고래 등 수많은 고래 종이 멸종위기에 처하자 1970년대부터 국제포경위원회 조직 내에서 포경업을 중단하자는 의견이 우세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1986년에는 5년 동안 상업적 포경을 전면 유기하기로 선언했다. 현재까지도 이 규정은 대부분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상업 포경 금지 조항은 멸종위기종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북극 해변 원주민들의 '생존 포경'을 제외하고는 모든 고래류의 상업적 포획을 중단하자는 것이 포경 금지 조항의 기본 골자다. 고래는 해양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후 위기를 해결하는 데도 큰 기여를 하기 때문이다.
고래는 일생 동안 체내에 평균 33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죽은 후에는 흡수한 탄소를 품고 해저로 가라앉는다. 나무 한 그루가 매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22kg 정도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나무 수천 그루를 심는 것만큼 고래 한 마리를 보호하는 것이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2019년 12월 국제통화기금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고래의 개체 수는 전 세계적으로 합쳐 약 130만 마리로 추산되는데, 상업포경 이전 개체 수로 추산되는 약 400만~500만 마리가 현재에도 있다고 전제하면 연간 약 17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더 포집할 수 있다.
또한 고래의 배설물은 지구 산소의 절반을 생산하고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의 시작이 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돕는다. 뿐만 아니라 포유류인 고래는 숨을 쉬기 위해 바다 위로 올라오는 수직운동을 하게 되는데, 수천 미터를 잠수했다가 수면으로 올라오는 일명 '고래 펌프' 작용으로 바다의 영양분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래 펌프 작용은 해저의 미네랄을 바다 표현으로 다량으로 이동시키고 이 역시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기후위기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는 오늘날 고래를 보호하는 것은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데 선택이 아닌 필수다. 미국이 2017년 '해양포유류보호법'을 개정해 해양포유류를 보호하지 않는 방법으로 잡은 수산물의 수입을 제한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나, 우리나라가 지난 2021년 5월 '고래자원의 보존과 관리에 관한 고시(고래 고시)' 개정안을 발표해 기존에 유통이 가능했던 좌초·표류된 고래들의 위탁판매를 금지하고 불법 포획된 고래사체를 공매해 수익금을 국고로 귀속시켜온 관행을 금지하는 법을 시행하게 된 것도 고래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적인 흐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바다는 모두 이어져 있다. 일부 해역이나 일부 나라에서의 노력만으로는 해양생태계를 지키기 어렵다. 여전히 포경이 이뤄지고 있는 일본이나 노르웨이가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는 이유다. 그런데 포경 금지국인 우리나라에서 버젓이 고래 고기가 유통되고 있는 것은 어찌된 일일까?
포경 금지국에서 고래 고기는 어떻게 유통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