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2일 하동 여행 때 함께 한 홍창신 전 형평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여태훈 진주문고 대표, 김장하 선생(왼쪽부터).
윤성효
진주에서 형평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기억하고 조명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난 것은 창립 70년을 앞둔 1992년이다. 진주의 존경받는 시민 김장하(金章河)와 지역사를 연구하던 경상국립대 사회학과 교수 김중섭의 주도로 '형평운동(70주년)기념사업회'가 꾸려진 것이다.
기념사업회는 형평사 창립 70주년을 기념하여 '형평운동의 현대적 조명'을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시작으로 1996년에는 시민 1500여 명의 성금으로 진주성 정문 앞에 형평운동 기념탑을 세웠다.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을 시민사회에 재인식시켰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전기를 마련한 셈이다. 하지만 형평탑 건립 이후 이렇다 할 활동 방향의 가닥을 잡지 못하고 정체된 채 10년의 세월이 흘렀다.
2002년 형평사 창립 80주년을 앞두고 형평운동의 발전적 계승을 위해서는 기념사업회의 역할을 다부지게 재정립해야 한다는 각성이 일었다. 역사적 의미를 찾고 되새기는 한편 새로운 인권운동으로 재도약하자는 결의다. 시민사회에 재창립을 알리는 의미로 2003년 4월에는 형평운동을 주제로 한 공연과 학술회의와 사진전 강연회가 있었다.
아울러 인도의 '불가촉천민'과 일본의 '부락해방연구소' 관계자를 초청해 국제적 연대를 꾀하기도 했다. 그리고 '형평운동이란 역사적 사건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에 명철히 주목하고 그 의미를 새기는 실천적 운동에 매진키로 했다.
이제 한국 사회에 백정이란 신분으로 박해받는 집단은 없다. 그러나 백정이 없어졌다 하여 사회적 차별도 함께 없어졌는가. 다만 백정이란 이름의 신분이 없어졌을 뿐이다.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미혼모라는 이유로, 한 부모 가족이라는 이유로,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갔다 왔다는 이유로, 다른 성적지향과 성별로 살아가고 있다는 이유로 모질게 차별받는 이들이 상존하는 현실을 보고 있지 않은가. 그들이야말로 오늘의 백정이다. 그러므로 그들과 어깨를 겯고 그 불평등과 차별의 벽을 부숴 나가는 것이 세상을 바꿔나가는 것이고 또한 기념의 의의요 운동이다.
올해 형평사 창립 100주년을 맞는 진주는 다시 형평 바람이 일고 있다. 진주시가 범시민적 기념행사로 치르겠다는 적극적 의욕을 보이며 손을 내미니 형평운동기념사업회도 추진단을 구성해 진주시와 손발을 맞추었다. 때마침 형평운동기념사업회를 이끌어오던 김장하(南星 金章河) 선생의 삶이 지난 설날 아침에 MBC 다큐를 통해 전국에 알려지고 '어른 김장하'가 책 <줬으면 그만이지>로 깔리며 상승작용을 일으키니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형평운동 100주년은 시민운동의 쇠퇴기를 거치며 명맥만 유지해오던 우리의 이상을 되짚어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기점이다. 우리는 여전히 배제돼 고통받는 오늘의 백정과 함께하며 그들과 어깨를 겯고 연대하는 것이 우리의 존재 이유라 여긴다. 그것이 2003년 2차 개편을 통해 내세웠던 '실질적 인권운동'의 실현이다. 100주년을 통해 다시금 형평과 그 정신을 시민사회에 환기시켜 살아있는 '형평'을 다음 주자에 승계하는 중간자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
* 시집 <형평사를 그리다>를 출간했던 고 박구경 시인(2023년 3월 작고)이 형평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내려고 했던 시집에 싣기 위해 발문으로 써 놓았던 글이다.
홍창신 전 형평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공유하기
인권 개념 없던 100년 전, '형평'을 처음 외치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