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국무총리가 19일 오전 집중호우로 인해 수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충남 청양군 청남면 인양리를 찾아 복구작업을 돕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은 위험 지역에 대한 사전통제와 교통관리, 예방 순찰이 진행됐다고 보고했지만 현실은 엉망이었다. MBC 보도에 따르면 참사 당일인 7월 15일 오전 7시 4분 충북경찰청에 "미호천교가 넘치려 한다", "오송 주민 대피가 필요하다"라는 근처 공사 관계자의 112 신고가 접수됐지만 경찰은 출동하지 않았다.
오전 7시 58분 "궁평지하차도(궁평2지하차도)가 잠길 수 있으니 차량 통제를 해달라"는 112 신고가 다시 접수됐지만 경찰은 비슷한 명칭인 '궁평1지하차도'로 출동했다. 결국, 경찰은 지하차도가 완전히 침수된 지 20분이 지난 9시 1분에야 사고 현장에 도착했다.
충북도청과 청주시청, 흥덕구청 등은 서로 자신의 관할이 아니라고 떠넘겼고, 위급한 재난 상황을 방기했다. 일각에서 지자체와 경찰, 관련 기관을 조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재난 컨트롤타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행안·국방·농식품·산업·환경·국토부, 경찰·소방·문화재·산림·기상청, 17개 시·도, K-water, 한국농어촌공사 등 대부분의 정부 기관이 모였지만 소통과 협력, 지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듯한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이태원 참사처럼 정부의 안일한 대처로 14명의 안타까운 생명들이 가족의 곁을 떠나간 '인재'였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독립 언론 '아이엠피터뉴스'를 운영한다. 제주에 거주하며 육지를 오가며 취재를 하고 있다.
공유하기
회의를 10번 넘게 하고도... 부실했던 '재난컨트롤타워'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