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암 이종일 선생
묵암 이종일 선생 기념사업회
19세기에서 20세기 초 반봉건·민족해방 운동에 나선 이들은 이중삼중의 굴레에서 싸워야 했다. 낡은 봉건주의 폐습과 이에 종속된 권력 그리고 국권을 침탈한 외세와의 싸움이었다. 그러다 보면 가정을 돌볼 겨를이 없었다. 해외 망명자들은 대부분 단신으로 떠나고, 국내에서 항일투쟁 역시 '가사불고(家事不顧)'의 처지였다.
이종일은 시종 국내파에 속한 독립운동가인데, 파란곡절의 생애 중 가족(가정사)에 관한 기록은 찾기 어렵다. 1898년부터 1925년 작고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주요 사실을 기록한 『묵암 비망록』에도 한 대목일 뿐이다. 1899년 4월 19일 자이다.
실학 및 개화에 관한 서적을 사내에서 읽다. 아내와 언쟁을 했는데 가사를 돌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가 말하기를 "나라를 위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것만이 바로 나의 원하는 바이요 사사로운 정 따위는 돌볼 수가 없다. 남편의 위대한 사업을 이해할 줄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아내에게 호령했더니 이해하는 아내가 되었다.
『제국신문』을 발행하던 시기였다. 일기 한 대목으로 그의 여성관을 재단한다는 것을 무리에 속한다. 그럼에도 여성들과 밑바닥 서민 대중을 계몽하고자 순한글 신문을 펴낸 사람의 기록이어서 다소 의외스럽다.
참고로 그의 여성관련 주요 논설을 살펴보았다.
「여성개화에 큰 기대」, 「천기(賤妓)엔 동등권 주지 말자」, 「여성의 학문불요론은 남성의 편견」, 「여성들도 보람있는 일 찾자」, 「미국여성의 사회적 지위」, 「자녀교육에 어머니의 역할」, 「뿌리를 배양하듯 여성교육 필요」, 「우리도 남성우위의 구습 버릴 때」, 「서양학자가 말하는 남녀비교론」, 「여학교 세워 국문교육 힘써야」, 「여성교육도 힘써 부덕 높이자」,「부인학회의 교육활동에 기대」, 「본받을 각국의 여성교육열」, 「여성의 신교육은 문명국의 첫걸음」, 「궁녀(宮女) 해방시켜 자유생활 누리도록」, 「여성의 사회진출은 좋은 일」, 「여성은 국민의 어머니, 사회의 꽃」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