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유스에서 실행했던 프로그램 퀘렌시아 내부에 걸린 현수막
더유스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또 정부가 주최하는 공모 사업은 장기 프로젝트여도 1년 내외의 단기 사업에서 그치는 경우가 많다. 외국 같은 경우 장기 프로젝트의 규모가 10년 단위로 이루어지는데, 한국은 기본적으로 3년 내지 1년으로 진행되며 그마저도 조기 무산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2009년부터 히키코모리 문제 대응을 위해 중앙부처와 중앙정부-광역지자체-기초지자체로 이어지는 본격적인 정책 연계 시스템을 갖췄다.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와 광역지자체에는 '히키코모리지역지원센터'가 있다. 또한, 국가에서 '히키코모리 서포트 사업'을 개시해 당사자에게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리고, 실태 파악과 지원 인력 파견 등을 진행한다. 장기화, 고령화된 히키코모리 문제를 국가에서 직접 구축하고 체계화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은둔·고립 청년 문제가 비교적 최근 대두되기 시작한 상황에서 이들을 정확히 발굴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심화되는 것은 시간 문제임이 자명하다.
이솔지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은둔·고립 청년들에 대한 국가와 사회 차원의 관심이 높아지는 현상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은둔·고립 청년 발굴을 위한 방안으로 개인 맞춤형 전문 상담·지원을 제공하는 '스크리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은둔·고립에 대한 개념 재정의가 불분명한 점을 가장 먼저 지적했다. 그는 "현재 어디까지를 은둔·고립 청년으로 규정할 것인지 논의가 부족하다"며 "그러다 보니 지자체별로도 지원 사업이 달라지고, 실제 은둔·고립 상태에 놓인 청년도 스스로가 그런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게 만들어 발굴이 늦어지는 등의 문제가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사후 대책 외에 잠재적 은둔·고립 청년 및 학생들을 미리 발굴해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예방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대상자 스크리닝과 이를 위한 전문 인력 확충을 강조했다.
또, 현재 정부와 지자체에서 진행하는 지원 사업들에 대해 "기존에 이미 시행되고 있던 프로그램과 인력부터 활용해야 한다"며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후죽순 식으로 사업과 정책을 내놓기만 해서는 은둔·고립 청년들에게 혼란과 실망감만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글을 사랑하는, 취재 기자를 꿈꾸는 대학생입니다. 논리와 어휘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유하기
"예산 한계로 지원 종료" 은둔 청년, 전수조사도 지원도 부족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